마리아 사망 후 테일러는 CIM 독신 선교사 제니 폴딩 (Jennie Faulding) 과 재혼존 네비우스 , 허드슨테일러와 한국선교목차 01 존 네비우스와 한국선교 02 허드슨 ... 테일러와 한국선교01,02 존 네비우스허드슨테일러01,02 존 네비우스허드슨테일러 한국장로교회 에 큰 영향 - 체계적 성경공부 ( →지도자 양성에 도움 ) -3 자원리 중 ... 자립정신 - 현지인 지도자에게 위임 3 자원리 ( 자립 , 자치 , 자전 ) 의 성공적인 열매를 거둔 선교사 미국 선교사로 영파에 입국 존 네비우스 한국침례교회 ( 창시자
로버트 스피어존 그레샴 메첸제임스 허드슨테일러칼 구줄라프존 네비우스토착화언어적발전로마제도권혼합주의로마교회금욕적 수도원주의라토렛의 지적- 교회의 부패로 인한 이슬람권에 패배옛 종교 ... 의 복음화가 이루어졌다. 당시에 활동한 인물들을 살펴보면 D. L. 무디, 찰스 시므온, 존 모트, 아더 피어슨, 로버트 스피어, 존 그레샴 메첸, 제임스 허드슨테일러, 칼 구줄라프 ... , 존 네비우스등이 있다. 당시의 토착화를 살펴보면 로마교회는 권위주의적이며 제도권 교회설립이 우선이었으나 개신교의 영향을 받았고, 개신교회는 지역교회의 참여를 중요시하고 헌신
, 웨이, 윌리엄 마틴, 존 네비우스, 존 커와 같은 선교사들이 중국에서 활동하였다. 미국장로회는 1845년 마카오에 남자학교(광주 배영학교의 전신)를 세웠고, 1846년에는 여자학교 ... 의 기독교관에 결정적인 성격을 부여하는 조건이 되었다.많은 선교사 중에서 특히 위대한 인물로서 사무엘 슈헤레스체르스키, 티모시 리처드, 허드슨테일러의 세 사람의 이름을 잊을 수 없 ... 에서 선교활동을 하였다.미이미회 역시 남경조약 후 중국에 선교사를 파송하기로 결의하고 1847년 콜린스와 화이트를 파송하였다. 그들은 복주에서 활동하였다.감리회에서는 1848년 테일러
부 책임자로 활동하면서 선교지를 돌아보았다. (6) 존 그레샴 메첸: 메첸은 자유주의 신학의 핵심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위험성을 지적하였다. (7) 제임스 허드슨테일러: 19세기 ... 하고 영국 동인도회사의 통역관으로 중국에 들어갔다. 그 이후 유렵의 선교단체와 연관하여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9) 존 네이우스: 네비우스는 토착화원리를 통해 문화변혁을 통해 토착 ... 많은 종족들이 기독교에서 이슬람으로 집단으로 옮겨가기도 했는데 이것은 몽고와 오토만 투르크의 정치적인 압력으로 인한 현상이었다.아. 중요인물들(1) 존 위클리프: 로마교회의 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