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긴 한국이나 일본의 소설관을 중국의 것을 모방한 역사로 간단하게 몰아가서는 안된다는 점을 기억해야한다.2. 조선조 소설관의 양면성고려말 이규보는 《백운소설》에서 ‘소설’이라는 말 ... 았던 이제현의 《역옹패설》의 ‘패설’은 이규보가 사용한 ‘소설’과 동의어이며 고려 말의 ‘소설’은 논픽션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선조 중기 이후에 어숙권이 “우리나라 ... 하는 통속소설의 개념은 오늘날의 그것과 달리 소설이 경서나 사서보다 많은 독자를 가졌었다는 뜻을 내포하며 또한 소설이 재미있게 읽힐 수 있음을 암시한다. 그러나 조선조 소설 양식에 긍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