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한편 그는 만화나 탐정 소설 같은 것은 ‘폐쇄적’이어서 독자의 반응이 한정되어 있다고 보았다.3. 제랄드프린스 : ‘피서술자’서술자가 대상 ... 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사람을 프린스는 ‘피서술자’라고 부른다. 프린스가 독자 지향 이론에 기여한 점은, 문학 작품과 실제 ‘독자’가 일치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만큼 작품
,의 관계가 언급되지 않기 때문에 생겨난다. 우리는 해성행위로 이 빈자리를 채워야 하는 것이다.1.2. 제랄드프린스의 '청자'제랄드프린스는 다른 이론가들과는 다른 이론을 펼치 ... 고 있다. 그는 서술자가 대상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사람을 '청자(피서술자)'라 부르고 있다. 여기서 청자와 독자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물론 화자는 여러 방식으로, 즉 성별, 계급 ... 으며, 왕이 그녀의 이야기에 흥미를 잃으면, 그녀는 죽어야 한다.제랄드프린스의 이 이론으로 인해, 독자들이 직관적으로 이해는 하고 있었으나 여전히 명확하지는 못했던 서술의 차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