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 국민의 존재는 당연한 것이고 그리고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일상까지 스며있기 때문이다.‘적대적공범자들’은 이 민족이라는 관념이 생겨나고 일상을 지배하며 고착화가 되어가는 과정 ... 주의이다.이러한 문제의식은 박노자, 진중권, 우석훈 등도 여러 번 제기를 한다. ‘적대적공범자들’에서 더 중요한 아이디어는 제목 그 자체에 있다. 적대적공범자들이란 언뜻 보 ... 기에 서로 적대적이지만 서로 인식의 궤를 같이 한다는 점에서 서로의 체제 및 권위를 강화시키는 세력들을 칭하는 것이다.
영화 감상문은 두 번째 보는 영화여서 대강의 스토리 구조를 알고 있던 터라 별 기대하지 않고 수업시간에 보러갔다. 그러나, 같은 영화를 보더라도 이번에 본 것은 이전에 본 것 ... 관계를 통해서 카리스마를 가진 강압적 독재자와 순응하는 다수의 민중의 관계, 그리고 권력의 속성을 드러내려고 하고 하고 있는 것이다. 작품이 배경으로 하고 있는 시기가 1960년 ... 지 않다. 즉, 엄석대는 해방 후 우리나라에 여러차례 등장했던, 독재적인 정치 지도자들을, 반 아이들 중 체육부장, 생활부장은 정당성이 약한 정권을 수호하는 권력의 핵심부를, 대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