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 교육 부분을 맡은 ***입니다.먼저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적 접근부터 발표하겠습니다.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과 달리 근본 ... 적으로 사회성 발달에 있어서 일탈적인 결함을 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적인 교수 환경만으로 발달과 학습 촉진이 어렵고, 장애의 주요 특성에 맞춰 교육 방향을 수립해야 합니다.자폐범주 ... 에 적합한 행동 학습을 배우는 것을 의미합니다.자폐범주성 장애는 사회성 및 사회적 관계의 모든 측면에서 일탈적 발달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교육과정에 놀이기술교수 등 사회성 관련 기술
을 때 높은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2. 연령/능력 수준? 대상 연령 : 유치원 ~ 성인? 대상 진단명 및 관련 특성 : 경도에서 중등도까지의 자폐범주성 장애(ASD),아스퍼거 ... 상황이야기(SOCIAL STORIES)상황이야기란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인식과 이해하는 능력에 따른 적절한 반응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지니는 자폐아를 위해 고안된 중재전략이 ... 에서의 어려움 등 자폐성 장애를 지닌 아동이 사회적 기술에서 어려움을 겪는 부분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주로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문제해동 같은 주요한 문제들에 초점이 맞추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