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부터 원(元, 1271~1368)까지 허베이[河北], 허난[河南], 산시[山西]에서 집중 출토된 자주요계(磁州窯系) 도자기 베개, 즉 자침(瓷枕)에 주목한다. 수·당대 이후로 중국 ... 의 대표적인 민요로 자리를 잡은 자주요에서 대량 생산된 자침은 단순한 침구의 기능을 넘어, 다양한 장식 문양을담아내는 대중적인 미술매체로 기능하였으며 장식품 및 부장품으로써 활용 ... 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송대 이후 시장경제체제에 의거한 자주요 도자의 생산과 판매 시스템으로부터입증되며, 전례 없는 자침 장식 문양의 다양화로 부터도 확인이 가능하다. 논문에서는 구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