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비에돌란과 그의 사랑에 대한 고찰목차1. 서론- 자비에돌란의 자서전으로써의 영화2. 본론- 어머니의 존재- 사랑의 또 다른 표현, 분노- 화면비율을 통한 정서전달 방식3 ... . 결론- 앞으로------------------------------------------------------------------------1. 서론- 자비에돌란의 자서전 ... 으로써의 영화“그 영화는 부분적으로 자서전이라고 할 수 있다.”자비에돌란의 첫 데뷔작 (2009)에 대한 인터뷰에서 그는 이렇게 말했다. 는 엄마를 증오하면서도 사랑하는 아들의 이야기
▪ 줄거리영화는 S14 법안을 소개하며 시작한다. 법안에는 행동 문제가 있는 자녀의 부모가 경제, 신체, 심리적인 위험에 처할 경우, 법적 절차를 밟지 않고서도 자녀를 공공병원에 위탁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디안(Diane Die Depres)의 아들 스티브(St..
나에게는 영화 속 이 사랑이 새로 운 사랑이 아니었다. 그렇다고 새로운 사랑이 아닌 것이 문제인가? 그것은 아니다. ‘그레타 거 윅’ 감독의 (2018)역시 부모와 자식, 여기서는 모녀의 관계를 다루고 있고 ‘아이 킬드 마이 마더’처럼 일종의 애증 관계를 보여준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