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임도 (영구적)- 기계로: 기계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임시로 개설된 도로- 운재로: 임산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산림내에 만들어진 통로- 작업로: 임도, 운재로는 제외 ... 1. 산지개발망계획● 임도의 기능에 따른 구분- 간선임도(이동기능) : 도로와 도로를 연결 산림지역을 순환하여 산림의 보호 및 경영관리상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공도적인 성격 ... 의 임도(연결, 도달임도)- 지선임도(접근기능) : 조림, 육림, 수학 및 보호관리등 임업경영의 목적으로 시설되는 임도(시업, 경영임도)- 작업임도 : 일정구역의 산림사업 시행을 위하
로서 산림경영구 내의 총연장거리(m단위)을 총면적(ha단위)으로 나눈값인 산림의 단위면적당 임도연장(m/ha)으로나타낸다.#임도설치 대상지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조림,육림,간벌,주벌 ... -도로의 노선계획이 확정,고시된 지역또는 다른임도와 병행하는 지역은 임도 설치 대상지에서 제외한다.2.임도와 환경2-1모암과 토질*토질:함수율이 낮은지대,호박돌이 많은 사질토,경암지대 ... 의 너비의 경계선이 되기도 한다.-임도의 영선측량 시에는 경사측정기 ,방위측정기(컴퍼스),거리측정자(줄자),표적판 등이 필요하다.*중심선측량:중심선을 기준으로 측량하는 경우로서 평탄지
임도공학 (forest road engineering)임도의 개념임도의 역할* 적정한 삼림 사업의 추진 : 적시적절한 삼림관리, 다양한 삼림시업* 임업 총 생산의 증대 : 자원 ... 을 설치해야한다. 현지지형과 중심선을 확인한 후에는 토공규준틀을 설치한다.간단한 임도에 있어서 설계후 곧바로 시공할 경우에는 주변나무에 시공기면의 높이만을표시하여 토공규준틀을 대신하져서 ... 의 경감* 지역 교통의 개선* 지역 산업의 진흥* 보건, 휴양자원의 개발, 제공임도의 기능1 임업적 기능* 수송기능 : 산림과 시장이나 마을 등을 연결하며, 임산물과 인적자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