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핵심에 리 개념에 대한 기정진의 고유한 이해가 전제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이해를 낳게 했던 지성사적 압력이 무엇인지를 인기위리(認氣爲理), 주기(主氣), 사물(死物 ... . It will then be assumed that at the core of this article is Ki's unique understanding of the Li (理 ... understanding in three words. The first is to recognize Ki (氣) as a Li. Second, this means a new
를 주로 하여 해명하지만 여기에서 올 수 있는 인기위리(認氣爲理)의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심과 성을 물(物)과 준칙(則)으로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성이 있었던 것이다. This ... 과는 다른 학설이 제기되면서 학문적 분열 현상이 전개된다. 특히 심에 대한 리기론적(理氣論的) 해석이 주요 학문적 쟁점으로 부상하게 되는데, 그 결과 당시 기호학계에서는 간재학파가 중심 ... 이 발생하는데 논쟁의 발단은 유중교가 이항로의 심설이 주리적(主理的)으로 치우친 것을 조정하고 보완하려 했기 때문이다. 유중교는 심과 명덕(明德)에 대한 리기론적(理氣論的)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