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 사신을 접견할 때 , 중국에 문서를 보낼 때 착용하던 관복이다 .원유관 ( 遠遊冠 ), 강사포 ( 絳紗袍 ) 로 되어 있으며 , 고종이 황제위에 오르면서 원유관은 중국 ... ) 은 대례복 ( 大禮服 ), 제복 ( 祭服 ) 에 속하는 것이 면류관 , 곤복이고 , 조복에 속하는 것이 원유관 , 강사포이고 , 상복에 속하는 것이 익선관 , 곤룡포이다 .이 밖 ... 천자가 착용하던 통천관 ( 通天冠 ) 으로 바뀌었다 .상복 익선관 ( 翼善冠 ) 에 곤룡포 ( 袞龍袍 ) 는 왕의 상복이고 왕세자의 법복이다 . 곤룡포는 왕이 평소 집무 때에 입
)의 구성은 통천관(通天冠) 혹은 원유관(遠遊冠) 을 쓰고 강사포(絳紗袍), 상(裳), 중단(中單)을 입고, 폐슬(蔽膝), 패옥(佩玉), 대대와 후수, 옥대를 차며 규를 들고 백말 ... 는 통천관복(通天冠服)을 착용하였다.저고리,바지->강사포->상->중단->폐슬->패옥->옥대->원유관->규->화강사포(絳紗袍)는 윗옷인 의와 아래옷인 상(裳)을 강색(鋼色))의 비단 ... 다. 왕의 면복 '의(衣)‘와 '강사포(絳紗袍)' 안에 착용한다.초기에는 흰색, 말기에는 옥색으로 만들었다. 옷깃, 도련, 수구, 섶에는 청색 선을 둘렀고, 옷깃에는 불문 1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