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 또는 출산에 의해 생활에 위협이 되는 경우 등 의학적?우생학적?사회경제적 이유가 있는 경우 위법성을 조각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모자보건법에서는 ① 본인 또는 배우자가 대통령령 ... 이 정하는 우생학적 또는 유전학적 정신장애나 신체질환 또는 전염성 질환이 있는 경우 ② 강간 또는 준강간에 의하여 임신된 경우 ③ 법률상 혼인할 수 없는 혈족 또는 인척간에 임신 ... 의 건강이 현저하게 나빠질 우려가 있거나, 악질적인 유전적 소인을 없애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태아가 모체 밖에 나와도 생명을 유지할 수 없는 시기에 행하는 것을 뜻한다. 이 밖
은 경우도 있다. 그 대표적인 예의 하나가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대한 착오(Irrtum ber die tatsachlichen Voraussetzungen eines ... 이 없다.이에 대하여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대한 착오는 행위자가 전제사실을 잘못 인식하였지만 법에 대한 행위자의 태도가 법질서에 반하지 아니한다는 점에서 존재의 착오 및 한계 ... 의 착오와 다르다.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대한 착오는 허용상황이라는 사실관계에 관한 착오라는 점에서 구성요건적 착오와 유사하나, 객관적 구성요건요소는 아니라는 점에서 구성요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