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인간이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보다 고등한 지식의 형성 가능성을 근접 발달의 영역 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 후의 이 이론은 러고프의 도제학습, 월취의 대화학습, 말라구찌 ... - 비고스키의 사회문화적 구성주의와 과학교육방법에의 적용 -[과제 제출 유의사항]※ 본 파일은 과제 제출 양식 이며, 과제의 표지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제목과 학습자 정보를 기재 ... 하신 후, 다음 페이지부터 작성하시기 바랍니다.1. 파일 형식은 워드(doc, docx), 한글(hwp), 텍스트파일(txt)만 가능합니다.2. 파일명은 ‘과목명_학습자명’(특수
와 교수학습 >여기에서는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을 근거로 한 세 가지 학습모형을 제시한다.1) 월취의 대화학습 (언어의 창조적 기능을 중시)♧ 일반사회교육론연구 ... 는 ‘한 목소리 기능’과 대화 과정에서 언어가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대화적 기능’이다. 월취는 로트만의 ‘대화적 기능’을 중심으로 대화학습의 필요성을 전개한다. 그는 인간의 대화 ... 를 하게 하는 ‘대화적 기능’이 나타날 수 없다고 본다.월취는 참다운 대화학습을 방해하는 요소가 문화 속에 있기 때문에 언어의 창조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참다운 대화학습 모형
게 되었다. 비고츠키의 이론을 원용한 월취의 비판은, 그 후 구성주의를 개인적 면에서 주된 관심을 갖는 급진적 구성주의와, 사회문화적인 면을 수용하여 새로운 모습으로 바꾸어 가 ... 느냐, 혹은 사회적 상호 작용에 두느냐’에 따라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로 나누어지게 되었다.(2) 인지적 구성주의인지적 구성주의는 구성주의 틀을 중심으로 학습 ... 에서의 인지적 과정과 표상에 관계하는 심리학적 입장의 한 범주로서, 대개 개인 학습자의 이해를 위한 것이다. 즉, 인지적 구성주의 연구는 개인 학습자가 어떻게 지식을 표상하고 구성
주의 사이에는 학습관-교수관-교사의 역할관-학습자의 역할관 등에서 상당한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2. 사회적 구성주의와 교수학습1) 월취의대화학습월취는 비고츠키의 「사고와 언어 ... 에 대한 이해와 로트만(Lotman)의 언어의 대화적 기능 을 바탕으로 사회적 구성주의에 바탕한 대화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월취는 로트만의 언어의 대화적 기능 을 중심으로 대화학습 ... 는 능력 에서 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월취는 인간의 대화를 한 쪽 방향의 의사 소통이 아니라, 양방(송신자와 수신자)의 의사소통으로 보고, 대화학습에 나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