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이 종들의 용뉴장식인 용과 음통은 한국종의 형식에서 가장 뚜렷한 특징이다. 이 두 개의 장식은 이 종들이 조성되기 직전에 형성된 문무대왕의 해중릉(대왕암)에서 비롯된 만파식적 ... years before.
Fourth, the dragon of Yongnew(용뉴), according to the stories, was about the ideas of
종(鐘)1. 명칭과 구조① 용뉴(龍?)용의 모양을 취한 범종의 가장 윗부분으로, 이곳에 쇠줄 등을 연결하여 종을 매달게 된다. 즉 용뉴란 '용의 모습을 취한 고리'라는 뜻이 ... (鐘身)범종의 몸체는 한국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김칫독을 엎어 놓은 것 같은 형태로 매우 안정감을 갖고 있으며, 종정에는 용뉴와 용통, 즉 음관이 있다. 또 당좌 2개와 주악 ... 은 종구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하가 다른 주물법도 신라 범종의 특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②용뉴와 용통(음관)신라 범종의 종정에는 예외 없이 용뉴와 용통을 구비하고 있다. 용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