었으며 글씨는 안평대군(安平大君)이 썼다.○ 연령군신도비(延齡君神道碑, 서울특별시 지정유형문화재 제43호)노원구 공릉동 육군사관학교 안에 있다.이 신도비의 원래 소재지는 금천현(衿川縣 ... 에 황궁우(皇穹宇)란 팔각정으로 남아있지만 원래 이 자리는 세종의 둘째 딸 경정공주(慶貞公主)에게 하사된 저택자리였고, 선조 때는 왕자인 의안군(義安君)의 저택자리였다. 임진왜란 후 ... 다. 다화산군신도비(花山君神道碑, 서울특별시 지정유형문화재 제41호)서대문구 북가좌동 73-3번지에 있다.속칭 거북비로 통하는 이 신도비는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의 도총관(都摠管
다. 지금의 안국동 풍문여고 자리에 있었던 안동별궁을 고종의 잠저로 보고 있다. 대원군의 부친 남연군이 은신군의 양자였고, 은신군이 연령군(延齡君)의 양자였고, 연령군의 사저가 안동별궁이 ... (1472)에 조정의 소유로 되면서 정경궁으로 개칭되었다가 숙종 34년(1708)에 연령군의 사저로 하사되었다. 이후 안동별궁의 소유는 은신군, 남연군을 거쳐 대원군대에까지 이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