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생일가」같은 단가(당시는 아직 시조창이 나오기 이전이므로 시조라는 명칭이 없었음)를 짓기도 하였다.또한 83세 때 잊혀져 가던 「어부가」(12장)를 재발견하여 이를 개작 ... 에서 물러난 뒤 고향으로 돌아가서 「농암가(聾巖歌)」,「어부가(漁父歌)」같은 국문시가를 창작하거나 개작하여 영남가단을 창시한 인물이다. 그는 연산군 때 과거에 급제하여 연산군 ... 하였는데, 이현보에 의하여 개작된 「어부가」(9장)는 흔히 농암 「어부가」로 불리며 조선후기의 한국문화(문학과 음악)에 지대한 영향을 남겼다.원래 중국의 악부시(노래로 부를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