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과 박하사탕< 영화 ‘박하사탕’의 플롯 구조 살펴보기>영화 ‘박하사탕’의 플롯 구조를 살펴보기 이전에 아리스토텔레스의시학에 나와 있는 플롯 구조에 대한 설명 ... 은 아리스토텔레스의시학과 관련하여 생각해보았을 때, 박하사탕의 플롯구조는 좋은 플롯구조라고 생각한다. 가장 큰 이유는 플롯이란 영화를 보면서 나타나는 시각적, 청각적으로 나타나는 모든 것 ... 다. 시학에서는 깨달음의 수법으로서 이야기하고 있는데, 깨달음의 종류로는 징표를 통한 깨달음, 기억을 통한 깨달음, 추리과정을 통해 도달하는 깨달음이 있다.) 이때 박하사탕은 징표
은 틀림없이 그 당시에 독특하고 파격적인, 매력적인 플롯구조를 사용했음에 틀림없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시학에 비춘다면 박하사탕은 말도 안되는 플롯구조를 가진 영화인 것이 ... 보지 못했던 부분들에 대해 재조명 할 수 있다는 매력을 갖고 있다. , 처음 이 영화를 접했을 때는 단순히 재미있는 스토리의 구성이라고만 생각했다. ‘박하사탕이라는 제목의 의미 ... 하다고 생각했다.그러나 플롯 구조로 박하사탕을 살펴본다면, 이 영화가 정말 플롯의 구조로 인해서 더 빛이 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단순히 김영호의 일생을 순차적로 배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