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현대사특강 - 조선의 아나키스트 , 박열 - 역사교육과 4 학년 20092536 김재휘1. 박열의 생애 2. 박열과 아나키즘 3. 박열과 허무주의 4. 결론 목차 질의 및 ... . 민중의 직접혁명의 중요성을 강조함 . 아나키스트박열에게 현재의 식민지적 상황을 타파하는 것은 현상적인 급선무였으나 , 그보다 더욱 근본적인 ‘ 개인의 자유 ’ 를 획득하고 그것 ... 하고자 했던 아나키스트였다 .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박열의 이상주의적 아나키즘은 자신과 민족의 관계에 대한 심도 있는 내면적 성찰보다는 자기 소멸적인 허무주의적 직접 ‘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