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Ⅰ. 크립키의 생애Ⅱ. 기술주의에 대한 비판-①밀의 이론-②기술주의자의 비판-③크립키의 반박Ⅲ. 고정지시어-고정지시어의 개념과 한계Ⅰ. 크립키의 생애1940년 11월 13 ... (1998년), 및 (2005년) 펜실베니아 대학의 대학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하버드 정치 철학자 )노직(R. Nozick) - 크립키를 “철학하는 사람 중의 유일한 천재”라고 ... 불렀고, 언젠가 밀이나 러셀과 같은 전설적 인물과 동급에 서리라고 말했다.크립키는 자신의 수학적 재능을 살려 분석철학에서 빼어난 공적을 남겼다. 그에 앞선 양상 논리학자들은 언어분석
크립키, 『이름과 필연』, 옮긴이의 말 (2012년 8월 6일 제출, 유민석)옮긴이의 말크립키는 『이름과 필연』을 통하여 언어 체계에서 가장 중요한 단위 중의 하나인 ‘이름 ... 의 중요한 성질들에 직접 접촉 또는 노출되어 있는 사람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크립키는 성질들의 기술로서의 이름 이론을 정면으로 거부한다.이름 지칭론첫째, 기술론자들은 이름 ... 별이다”를 우리는 선험적으로 알지 못한다. 경험적으로가 아니면 이것을 알 수 없다.)크립키, 『이름과 필연』 제 3강의 발제문 (2012년 8월 27일 제출, 유민석)본질주의(내재
크립키의 회의적 해결책에 관하여1. 크립키-비트겐슈타인의 회의적 역설과 규칙솔 크립키는 미국의 철학자이자 논리학자로 현존하는 가장 영향력있는 분석철학자 중 한명이다. 그는 형 ... 한다. 또한 우리는 ‘68+75=?’라는 문장이 다른 답이 아닌 ‘125’로 나타나는 것은, 언어의 규칙에 의해 확정된다고 생각한다. 크립키는 회의론자의 입장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있 ... +’가 다음에 사용하게 될 때에도 반드시 ‘더하다’라는 의미를 나타낼 정당한 규칙이 없다는 것이다.이와 같이 크립키는 언어의 규칙이 우리의 언어 사용과 그에 관련된 행동 방식을 규정해줄 수
다발이라는 다발이론(Cluster Theory)을 내놓았다.그러나 솔 크립키(Saul Kripke)는 일상적인 이름의 대부분이 그것이 존재하는 모든 가능세계에서 동일한 지시체를 갖 ... 도 썼던 계관시인은 추리소설도 썼던 계관시인이다”는 식으로 정보를 전달하지 못하는 불필요한 문장이 된다.또한 크립키는 이름이 기술구의 모호한 다발로 이루어졌다는 썰의 이론도 반박 ... ‘모나리자’가 바르톨로라는 화가에 의해 그려졌다고 할지라도 현실적으로 ‘레오나르도 다빈치’라는 이름을 말할 때 ‘바르톨로’를 뜻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크립키는 이름이 고유하며 복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