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troversial whether the Soraigaku(徂徠學) could be defined as the Silhak or not. But I would maintain ... 본 소고는 18~19세기의 일본과 조선을 대표하는 사상가인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을 들고 그들의 학문이 무엇을, 그리고 어디를 지향했는지를 살피고 양자 ... 계는 보다 실용적인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었다. 그런 학문적 분위기에서 자연스럽게 오규 소라이가 중심이 되는 일본적 유학인 고가쿠(古學)가 발생할 수 있었던 것이다.소라이학을 정확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