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 곳이 있을까하는 궁금증이 생겼고 인터넷 조사를 하던 도중, 서울시에 에너지자립마을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2. 장소 선택-성대골마을 (서울시 동작구 상도 3,4동)강의 ... 를 조사하여 보니 십자성 마을과 성대골마을이 대표적이었다. 그 중에서도 성대골마을에 관한 뉴스기사나 블로거들의 방문후기가 많은 것을 보고 성대골마을이 에너지자립마을 중 ... 는 조금 놀랐다. 인터넷에 성대골마을과 관련된 자료들이 2012년, 2013년 정도에 한참 올라오고 난 뒤로 ‘성대골 에너지 자립마을’에 대한 미디어와 대중의 관심은 식어버렸지만 성대
너곳에서 에너지 절약·효율화·생산 활동으로 자립마을이 정착되었다. 즉, 태양광이 설치된 이동식 카페인 해바라기는 햇빛 에너지로 운영되는 성대골의 명물이면서 인근 중학교의 에너지 ... 기후변화 수업의 100점짜리 교재이다. 이렇게 서울 하늘 아래에서 첫 에너지자립마을을 꿈꾸는 성대골마을은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로 원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 ... 강사로 활동하면서 아이들에게 에너지 중요성을 교육하고 있다. 성대골에너지자립마을에서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마을기업으로 마을 전문인력들이 주택 단열개선과 에너지컨설팅
의 ‘성대골마을’, ‘십자성 마을’, 지방의 ‘중금마을’, ‘등용마을’등이 실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세계최초의 자립마을인 독일의 ‘윤데 마을’이 있는데 윤데 마을은 바이오에너지를 중심 ... 성대골마을과 십자성 마을은 특이하게도 도심 속 에너지자립마을이다. 십자성마을은 대한민국 국군 상이 군인의 수용을 위해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조성된 단독주택 밀집 구역으로 사실 일반 ... 원자력 에너지, 계속 사용해도 괜찮은 것인가?-석유 고갈의 대비책인 에너지자립마을을 중심으로-서론오늘날 무분별한 에너지의 사용으로 세계는 에너지 고갈위기에 처하게 되었고 우리
지 못하고 있다.방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3-1. 에너지자립마을후쿠시마의 원전 사고로 대안을 만든 마을이 있다. 상도동에 위치한 성대골공동체이다. 원전사고로 에너지에 대해 관심 ... 에 관한 정보의 부정확성2-3. 전기 쏠림2-4. 한정된 에너지와 기후변화3. 사회문제로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방안3-1. 에너지자립마을3-2.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한 인재 양성3 ... 들은 절전소를 이용해 전기 사용량을 줄였고, 방법을 서로 공유하며, 주민들은 전기 사용량을 10%이상 줄였다. 또, 햇볕 태양광을 이용한 에너지 까페를 만들었는가 하면, 마을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