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희곡, 교술로 구분하는 4분법을 취했다. 이것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큰 갈래서정교술서사희곡자아와 세계의 관계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이 없는 세계의 자아화작품 외적 세계 ... 가 이 견해는 같은 갈래인 가사가 내용에 따라 서정적 양식과 서사적 양식으로 나누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김동욱은 서정시, 서사시, 희곡을 전통적인 3대 양식으로 분류하고, 국문학 ... 을 주로 문학사적인 입장에서 분류하고 작은 갈래를 다시 하위 부류로 분류한다. 그는 가사를 가사(歌辭)가 아닌 가사(歌詞)로 표현하면서 그 안에 고려가사, 가사(歌辭), 악장
< 고전 소설 >>◆ 갈래 설정서정교술희곡서사작품 외적세계- 자아의 개입 유무작품 외적 세계의 개입 유무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유무없음있음없음있음자아와 세계의 대립이 한쪽으로 귀속 ... 의 대결인 서사▶희곡희곡은 작품외적 자아의 개입 없이 전개되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이다. 작품외적 자아가 개입하는 서사는 확장적인 데 비해, 작품외적 자아의 개입이 없는 희곡은 집약적이 ... 다. 희곡은 서사와는 달리 오직 자아와 세계의 대결 그 자체에서만 전개되므로 인물, 작중시간, 작중장소의 설정에 제약이 따르고 현재형을 요구하며, 완전한 특정전환표현이다.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