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규칙 빈칸 메우기 평가(cloze test), 구두면접(oral interview) 등이 있다.? 바람직한 평가평가는 일반적으로 타당도(Validity)와 신뢰도 ... (Reliability), 객관도(Objectivity), 실행가능성(Practicability)이라는 일반적 원칙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붙임 #1참조) 이러한 평가에 있어서 바람직한 측정의 기준 ... 이 마련되어야 함을 필수적인 것이다. 즉, 학습자들의 내적 동기를 유발 할 수 있는 측정이 필요한 것이다.(붙임 #2참조) 이제까지 평가의 여러 가지 목적과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