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동아리신문발간축사]우리가 사는 세상은 아름다워야!“나 하나의 인간 개체는 결국 죽음을 맞이하겠지만, 인간이라는 생물종이 지구환경에서 영겁의 세월 동안 살아가기 위해 ... 물종이 살아가고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그중 아직도 이름조차 가지지 못한 생물이 이름을 가진 생물종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물론 미지의 생물종들은 앞으로도 긴 시간을 두 ... 고 생물분류학자들에 의해 신종으로 밝혀져 나갈 것입니다. 그렇다면 현재 이름조차 가지지 못한 그 많은 생물은 이 지구환경에 무의미한 존재일까? 절대 그렇지는 않을 것입니다. 우리
이내).생명과학 시간에 세포호흡과 발효에 대해 배우고 이를 실생활에 이용하는 사례를 찾아 우리지역 진로 체험활동으로 막걸리 양조장 견학을 추진했습니다. 견학 전 미생물을 산업 ... 에 이용하는 다른 사례를 찾아보았습니다. 그러던 중 ‘방천리 쓰레기 매립장’에 대한 기사를 찾아 읽었는데, 방천리 매립장은 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며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주변 ... 연료, 미생물 연료 전지, 재생유, 바이오 에탄올 등 폐기물을 에너지자원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기술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폐기물을 자원화 하는 것은 환경 문제와 자원 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