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학윤리 REPORT >이 책은 처음에 새뮤얼 C. 플러먼의 공학자가 된 이유에 대해 이야기 한다. 그는 수학성적이 뛰어나서 몇몇 선생님들이 이공계 진학을 권유했다고 한다 ... 상 폭넓게 교육받은 엔지니어라는 개념은 사라지고 말았다. 그리고 새뮤얼도 인문학이 점점 하찮게 느껴지고 심지어는 짜증나기 시작했다. 즉, 교양 있는 인간(실버너스 세어가 꿈 꾼 ‘신사 ... 으라고 말했다. 공학의 속성이 오해 되어왔는데, 도리어 공학은 정서적 충족으로 가는 작은 길이고 공학의 심장부에는 실존적 즐거움이 자리하고 있다고 새뮤얼은 전달해준다.오늘날
REPORT과목 : 공학윤리제목 : 교양 있는 엔지니어 독후감교수 :학과 : 정보컴퓨터공학부이름 : 정학번 : 20새뮤얼 C. 플러먼의 [교양 있는 엔지니어]는 요즘 전공을 벗 ... 어나서 영문학, 심리학, 기타 문학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된 나에게는 인문학에의 필요성에 대한 당위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 책의 시작은 플러먼의 삶을 짧게 그려내고 있다. 플러먼
새뮤얼 C. 플러먼은 공학자에게 왜 인문학적 소양이 필요한지, 오늘날 엔지니어가 되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공학은 어떻게 사회발전에 기여하는지 등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하 ... 시킴으로써 엔지니어를 기술적으로 더 유용하게 만들 수 있다고 본다.『교양있는 엔지니어』의 저자 플리먼뉴욕 중견건설회사의 C.E.O. 이자 뉴욕과학아카데미에서 활동하고 있는 엔지니어 ... 역학 제1법칙’을 모르는 인문학자플러먼은 『교양있는 엔지니어』에서 “엔지니어들은 ‘죄와 벌’을 모르고 인문학자들은 ‘열역학 제1법칙’을 설명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결국 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