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한군중을 읽고‘고독한군중’이라는 책 제목은 나에게 신선한 궁금증을 불러일으켰다. ‘고독한군중’이 라는 말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까? 군중이란 한 곳에 모인 많은 사람 ... 들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러한 많은 사람들이 고독하다는 의미일까? 나는 책 제목에서 약간의 모순된 느낌을 받았다.이 책은 대중사회에서의 인간의 행위유형을 연구하며 쓴 책이다. 고독 ... 한 군중을 쓴 데이비드 리스먼은 사회의 변화와 그 사회성원의 생활양식의 변화를 ‘사회적 성격’이라는 핵심개념을 통해 분석하였다. 리스먼에 따르면, 사회적 성격이란 개인의 행동과 사회
고독한군중을 읽고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는 유명한 말이 있다. 이 말을 통해 인간은 혼자서는 살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나 ... 에서 생명을 유지해야 하는 것이 인간이다. 라는 결론을 내리면서 군중에 고독한 이라는 수식어를 사용한 작가의 의도가 궁금했다.데이비드 리스먼은 주요한 사회집단들이 고유하는 사회적 성격 ... 는 이 아리스토텔레스의 말과 ‘고독한군중’이라는 제목을 연결시켜 생각하면서 인간의 생명 줄과 같은 군중이 고독하다면 군중의 개체인 인간 역시 당연히 고독한 것이고 이런 고독함 속
고독한군중을 읽고『고독한군중』이라는 책 제목에서부터 풍겨오는 분위기는 책을 읽기 전 호기심을 자극하면서도 어느 정도 내용을 예상하게 했다. 군중인데 고독하다는 것을 풀어보 ... 면 사회 속에서의 느끼는 고독? 혹은 이것과 비슷한 것에 대해 말할 것 같았다. 나의 예상은 어느 정도 맞았고, 책을 읽고 나서는 계속‘혼밥’과‘밥터디’가 떠올랐다. 데이비드 리스먼 ... 자체의 뜻을 그대로 반영한 현재 한국사회의 모습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특히『고독한군중』에서 말하고 있는‘타인지향적인 사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