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7일1. 복지 수급자의 범위에 대한 관점1) 보편주의- 보편주의는 전체로서 사회(society as a whole)에 초점을 맞추므로 계급, 종교, 연령, 인종, 성별 등 ... 에 따라 사람을 가르지 않는다. 즉, 개인의 복지를 전체 사회의 책임이라고 인식한다.- 사회는 개인이 생산적인 사회 구성원으로 복귀하여 자신의 사회경제적 안녕을 스스로 책임질 수 ... 을 맞춘다. 시민권 대신에 ‘거주 여부’를 기준으로 수급자를 정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가장 높은 수준의 보편주의이다.- 최근에는 사회적 위험으로 확립된 문제는 모두 사회정책의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