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歸。 살이 백색이면서 수렴하지 않으면 비기의 허증이니 사군자탕에 천궁, 당귀를 쓴다. 食少體倦而不斂, 脾氣虛也, 用六君、當歸、升麻。 음식을 적게 먹고 몸이 권태롭고 수렴하지 ... 약 사용 금기이다. 처방은 액옹에 나타난다. 四君子湯 사군자탕 治腸胃虛熱, 脣口生瘡, 或瘡不消、不潰、不斂, 或食少作嘔, 大便不實。 사군자탕은 위장 허열, 입술과 입의 창양, 혹은
환을 쓴다. 積滯黃黑者, 用四君子湯加黃連、木香。 적체되면서 황흑색이면 사군자탕에 황련, 목향을 가미하여 쓴다. *積滯:음식물이 소화되지 않고 위(胃)에 머물러 있는 증. 비위(脾胃)가 ... 불리하고다시 손상됨이니 육군자탕에 승마, 시호를 써 설사가 멎었다. 又四味肥兒丸而愈。 또 사미비아환을 써 낫게 한다. 四君子湯 六君子湯 加味逍遙散 五味異功散(四方見內釣) 사군자탕, 육군자탕
" - "한의학에서는 증상 중심의 치료" 서로 치료에 장단점 및 상호 보완점 존재 동양의학(증상치료) + 서양의학(병원체 구분) → 인류보건에 도움 7. 사군자탕과 사물탕 인체 기 혈 ... 기능 기질 사군자탕 사물탕 인삼 숙지황 - 사람을 기와 혈의 관점으로 본다면, 기 : 우리 몸의 대표적인 기능계를 대표하는 것 혈 : 기질적인 것을 대표하는 것 기능계를 도와주는
, 治之而愈。 단지 음식 먹을 생각이 없고 손발가락이 차면 이는 외사가 비록 제거되어도 원기가 아직 허함이니 비토를 보하고 폐금을 생성하여 곧 육군자탕에 승마를 가미하여 써 ... , 調補脾土, 以生肺金爲善。 외사가 이미 제거되면서 기침이 아직 낫지 않고 혹은 다시 기가 촉급하면 폐기 허약이며 형체와 병이 모두 허함에 속하니 반드시 육군자탕 종류를 써 비토를
간화로해서 먼저 발표약제를 쓰고 다시 숨차고 도한이 더해진다. 余用四君、五味子、?薑, 四劑不應, 每劑又加人參五錢、?薑一錢, 稍止, 又三劑而?。 내가 사군자탕에 오미자, 구운 건강을 ... 밖에 견고하면 진액이 안에 저장되며 땀이 중지한다. 若元氣虛者, 夏月用六君子湯加山藥、山茱萸, 冬月用加減八味丸、十全大補湯。 만약 원기 허증이면 여름에 육군자탕에 산약, 산
조복해 10여일만에 점차 나았다. 又以四君子湯而?。 또 사군자탕으로 완전히 낫게 되었다. 一小兒泄瀉腹痛, 手足?冷, 脣?額黑, 余謂寒水侮土, 用益黃散痛止; 한 소아가 설사 복통에 ... 비장에 나타난다. 理中湯(方見咳嗽) 이중탕 처방은 기침에서 나타난다. 四君子湯 六君子湯 五味異功散(三方?見內釣) 사군자탕, 육군자탕, 오미이공산 3처방은 내조에서 같이 나타난다
그치지 않아 먼저 육군자탕에 목향, 건강을 가미한 1제를 사용하며 목향, 건강을 제거하고 또 2제를 서 설사가 갑자기 멈추고 또 사군자탕에 조금 승마를 가미한 4제를 쓰니 음식이 더 ... 六君子湯、八味丸漸愈。 내가 말하길 품수가 명문화의 허이다. 육군자탕, 팔미환을 쓰니 점차 낫게 되었다. 畢姻後, 因房勞勤讀, 感冒發汗, 繼以?食勞倦, 朝冷暮熱, ?食不思, 用六君子
(洪승마 1제를 써 토하여 중지하게 하며 또 백출산 2제를 써 갈증이 없게 하며 다시 사군자탕을 4제를 써 편안하게 했다. 一小兒九歲, 發熱作渴, 用瀉黃散。 한 소아가 9세에 발열로 ... 구했다. 余曰?此虛極而變慢脾風矣。 내가 말하길 이는 지극히 허하여 만비풍으로 변화함이다. 用六君、?薑、當歸、木香、鉤藤鉤二劑, 益甚。 육군자탕에 구운 건강, 당귀, 목향, 조구등 2
。 이는 많이 토와 설사에 원인해 비기가 허약해지고 폐가 기를 바가 없으므로 대장의 기가 허탈해 하함하다. 用補中益氣或四君子爲主。 탈항은 보중익기탕이나 혹은 사군자탕을 위주로 한다 ... , 혈허로 열이 있으면 보중익기탕에 사물탕, 목단피로 보좌하여 쓴다. 微者或作痛者, 氣虛而有熱也, 佐以四君、牡丹皮。 미약하면 혹 통증이 생기며 기허로 열이 있으면 사군자탕, 목단
습열로 용담사간탕을 써 소멸하게 되었다. 但內熱倦怠, 此兼脾氣虛也, 用四君、柴胡、山梔、芎、歸而愈。 단지 내열로 권태로우면 이는 비기허를 겸하니 사군자탕에 시호, 산치자, 천궁 ... ;夕用加減腎氣丸。 아침에 급하고 저녁에 느슨하면 양허에 속하니 아침에는 육군자탕을 쓰고 저녁에는 가감신기환을 쓴다. 朝暮皆急, 陰陽俱虛也, 用八珍湯主之。 아침과 저녁에 모두 급하면
五味異功散或六君子湯主之; 이는 위기 허한의 증상으로 오미이공산이나 혹은 육군자탕을 써 주치한다. 若大便不實, 兼脾虛也, 加乾薑溫之; 만약 대변이 실하지 않고 비허를 겸하면 건강을 가미하여 온난하게 ... 用益黃散, 二服痛止; 내가 위의 기의 허한이라고 말하며 먼저 익황산을 써 두 번 복용으로 통증이 멎게 된다. 次用六君子湯, 數劑卽愈。 다음에 육군자탕을 써 몇 약제만으로 낫게 된다
것으로 음양의 균형이 깨져서 화가 동하는 것 - 여성의 기본 처방 ‘사물탕’ / 남성의 기본 처방 ‘사군자탕’ - 혈에 관련된 모든 질환에 사용되는 혈(血)병 통치약 ‘사물탕 ... ’ 11-05 기본처방 및 팔물탕 · 십전대보탕 ● 사물탕 + 사군자탕 = 팔물탕 ⇒ 십전대보탕 ● 기본처방 ◎ 어떤 약제가 기(氣)약이고 어떤 약재가 혈(血)약일까? - 인삼 :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