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설명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리고 지다形의 선택범위를 객관화하기 위하여 工藤(1995)의 동사분류를 기준으로 하여 고찰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일본어 수동표현에 한국어가 능동표현 ... 의 선택범위는 한정된 동사(140개-200개 정도)만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생산성이 현저히 낮은 이形으로 인해 한국어에서 수동표현을 필요로 하는 경우, 수동 보조동사인 지다形을 그 ... 보완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지다形도 의미적인 특성으로 인해 모든 동사와 결합할 수 없으며, 지다形과 결합 가능한 동사의 대부분은 ‘대상의 변화를 야기하는 동사’라는 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