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기로 결정하게 됨5) 1884년 7월 28일 미국북장로교선교부는 언더우드를 초대 조선 선교사로 정식 임명6) 일본에서 망명 중이던 이수정이 번역한 마가복음서를 보고 깜짝 놀람“아 ... 과 교육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허락받은 미국감리교선교부에서 일할 사람을 뽑았고의료 선교사 스크랜톤과 여선교사 스크랜톤 대부인, 아펜젤러가 이에 응함9) 1886년 6월에 우리나라 최초 ... ) 육영공원에서 가르침(우리나라 최초의 관립 근대 교육기관) (1886~1896년 육영공원이 폐교될 때까지 영어가르침)3) 감리교선교부의 요청에 따라 배재학당 교사가 됨4) 감옥
에서 부흥의 역사가 일어나고 있을 때인 1905년 9월 한국에서 활동하던 4개 장로교선교부와 2개의 감리교 선교부 선교사들은 ‘한국복음주의 선교공의회’(The General ... . Hardie)는 효과적인 기도에 대해 3차례 강의를 하게 되었다. 그는 요한복음 14장, 15장, 그리고 16장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기도의 3가지 본질, 곧 그리스도 안에 있어야 함 ... 는 자기가 경험하지 못한 어떤 말로도 형용할 수 없고 표현할 수 없는 집회였다”고 보고했고, 1월 15일자로 조지 맥쿤이 북장로교 선교부 총무 브라운(A. J. Brown
개월후인 9월 21일 뉴욕선교본부가 한국북장로교선교회의 결의안을 승인함으로써 홀드크로프트의 주장대로 미션스쿨의 폐쇄안이 통과되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의견차가 있기는 했지만 뉴욕 ... 선교본부가 한국북장로교선교회와 전체적인 입장을 깊숙히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본국 선교회의 결정이나 뉴욕선교부의 인준 이면에는 매큔의 영향이 크게 작용 ... 미국으로 강제 퇴거를 당했다. 그곳에 건너간 그는 이듬해 신사참배의 부당성을 호소하는 장문의 논문을 자신이 소속된 북장로 선교본부에 보내는 한편 미국 기독교 잡지에 신사참배의 부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