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노가재를 중심으로 한 가창집단의 활동상황이 잘 반영된 것이 의 ( )으로 마련된 의 존재이다.- 가단가 편찬되던 무렵 가장 큰 특징이라면 가곡창 곡조의 급속한 분화와 가창 ... 김묵수 (영조조), 6수를 남긴 숙종조의 김삼현, 10수 김성기(영조조), 117수를 남긴 노가재 김수장, 18수 김우규, 50수 김이익, 26수 김진태(영조조), 76수를 남긴 남파 ... 명이 있다. 그래서 이 시기도 시조의 융성기라 할 만 하다. 그런데도 이 시기를 구태여 시조의 전환기라고 이름 한 까닭은 이 시기가 시조집을 편집한 시기기도 하지만 김유기 김성기
·안민영의 「가곡원류」가 편찬되었고, 그 밖에도 「고금가곡」, 「근화악부」, 「병와가곡집」, 「화원악보」, 「동가선」, 「남훈태평가」등이 쏟아져 나왔다.본고에서는 3대 시조집이라 일컬 ... 어지는 김천택의 「청구영언」, 김수장의 「해동가요」, 박효관·안민영의 「가곡원류」를 중심으로 시조집의 체계와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2. 가객의 출현가객이란 우리 나라에 있 ... 은 영향을 끼쳤다.4. 해동가요(海東歌謠) ― 노가재(老歌齋) 김수장의 시조집*김수장-조선 후기의 가객으로 시조작가이다. 자평(子平)이라고도 불리며, 호는 노가재(老歌齋)이다. 숙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