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규명령의 사법적통제Ⅰ법원에의한 통제1구체적 규범통제(원칙)1)의의행정입법이 헌법 또는 법률에 위반되는 여부에 관한 추상적 규범통제 또는 구체적 규범통제 등에 의한 통제를 말 ... 적 규범통제의 방식이다. 따라서 행정소송법 제6조에서 규정한 명령?규칙의 위헌판결공고제도는 구체적 규범통제, 개별적 효력제도 하에서는 그 의의가 자못 크다고 할것이다.2처분법규의 경우 ... (예외적인 경우)①법규명령이 직접적으로 국민의 법적지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 때에는 당해 법규명령에 처분성이 인정되어 취소소송(항고소송)의 대상이 될수 있으며, 이경우에는 직접
는 출동명령을 받은 여수.순천지구 주둔 제 14연대와 그 인근 주민들에 의해 무장봉기가 일어났다. 남로당과 그 외곽조직은 이를 주도하거나 적극 가담하였다. 이에 위협을 느낀 신생정부 ... 적통치기구를 수립하는 점에 대하여는 새삼스럽게 정부를 참칭하거나 국가변란의 목적을 따질 필요가 없다.그렇다면 제2조가 명시하고 있는 “정부참칭”은 그 자체로는 아무 죄도 되 ... 은 이적단체를 처벌하기 위한 법규가 아니라 국민의 결사의 자유를 억압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제5항은 이적표현물에 관한 죄로서, 구성요건의 추상성, 광범성, 그로 인한 자의적인 적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