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57)
  • 방송통신대(54)
  • 리포트(3)

바로가기

방송통신대 - 2025 방송통신대 리포트 및 과제물 업데이트, 중간고사/기말고사자료
EasyAI “방통대재배식물생리학” 관련 자료
외 38건 중 선별하여 새로운 문서 초안을 작성해 드립니다
생성하기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방통대재배식물생리학" 검색결과 1-20 / 57건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석수업대체 과제물 농학과 재배식물생리학 공통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과제명 :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생리학적 요인에 관해 설명하시오.- 목 차 -Ⅰ. 서론Ⅱ. 본론1.1 기후적환경1. 광도2. 광질3. 온도4. 토양1.2 식물호르몬1.3 환경과 스트레스1. 냉해2. 동해3. 고온장해4. 가뭄장해5. 과습장해6. 바람스트레스7. 염류장해8. 산도스트레스Ⅲ. 결론참고문헌문원·유덕준, 「재배식물생리학」, 2022. 7. 14.Ⅰ. 서론작물의 생장에는 기후적 요인, 화학적 요인, 생물적 요인이 작용하며, 이들 작용의 일반 법칙으로는 포화나 최소량의 법칙, 상승작용, 항상성, 이월효과, 타감작용 등이 있다. 식물은 구조적인 변화나 특이한 물질을 생산하여 외부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도 한다.식물호르몬은 체내에서 생합성되는 일종의 화학적 신호물질이다. 식물호르몬은 합성부위와 작용부위가 다르고 극미량으로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일차적으로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막의 운반체단백질이나 원형질의 신호전달물질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활성화된 신호전달물질이 유전자발현을 촉발하여 각종 대사작용을 조절한다. 아울러 여러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호르몬의 종류별로 다양한 경로의 신호전달 모델이 제시되고 있는데 지금까지 알려진 식물호르몬은 옥신류, 지베렐렌류, 시토키닌류, 아브시스산, 에틸렌의 다섯 가지이다. 그 밖에 브라시노스테로이드류, 폴리아민, 자스몬산 등의 새로운 식물호르몬이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또 다른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는 기온, 강수, 광, 바람 등의 기후적 요인과 대기오염, 산성비, 염류농도, 토양반응 등의 화학적 요인, 그리고 잡초, 미생물, 동물, 다른 식물 등과 같은 생물적 요인이 있다. 이러한 환경요인들은 식물의 생장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금부터 작물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더 알아보도록 하자.Ⅱ. 본론식물의 생장은 유전적 소질에 지배를 받지만, 유전형질의 발현에는 여러 가지 환경이 관여한다. 즉, 생장속도와 건물생산 등은 온도, 광, 수분, 토양 등의 환경의 지배를 받는다. 재배식물의 생산성을 높이려면 좋은 품종을 선택하여 생장에 적합한 환경에서 재배해야 한다.1.1 기후적환경1. 광도식물은 광도가 증가하면 광포화점에 이를 때까지는 계속해서 광합성속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높은 광도에서는 생장이 촉진되고 수확량이 증가한다. 반면에 광도가 약하면 생장이 쇠퇴하고 수확량이 감소한다. 양지식물은 광도가 증가하면 지상부 건물 중, 줄기강도, 잎두께 등이 증가하지만 줄기의 신장은 억제되고 엽면적도 감소한다. 그리고 약광에서는 줄기의 길이나 엽면적은 커지지만 도장하기 쉽고 개화기나 결실기도 늦어진다. 음지식물은 광보상점이 낮아 그늘에서도 잘 적응하고 광포화점이 양지식물에 비하여 낮아 광도가 증가해도 광합성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식물에 따라서는 오히려 생장이 억제되며 심하면 해작용이 일어나기도 한다.2. 광질광은 대개 혼합광으로 다양한 파장의 빛이 섞여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파장은 식물의 생장에 각각 독특한 영향을 끼친다. 이 가운데 적색광과 청색광이 가장 효과적이다. 특히 청색광은 굴광반응, 마디의 신장생장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색광수용체를 크립토크롬이라고 하는데, 이 물질의 최대흡수파장으로 보아 세포막에 플라빈과 시토크롬b 등의 복합체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크립토크롬은 피토크롬과 상호작용하면서 생장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자외선은 파장이 200~400mm인데 세 부분으로 나뉜다. 즉 UV-A(320~400mm) , UV-B(280~320mm) 그리고 UV-C(200~280mm)로 나뉜다. UV-A는 플라보노이드와 각종 효소, 색소 등의 합성에 관여하며, B와 C는 DNA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어 식물생장에 해롭게 작용한다.3. 온도온도는 효소반응의 속도를 조절하여 생장에 영향을 미친다. 보통 저온에서는 생장이 느리지만 온도의 상승과 함께 빨라진다. 온도가 계속 높아지면 생장속도는 다시 떨어진다. 고온에서는 증산량이 많고, 광합성보다 호흡작용이 더 빠르기 때문에 생장속도가 느리다. 식물의 최적 생장온도는 종류, 기관, 발육단계, 생장시기에 따라 다르고, 밤과 낮, 지상부와 지하부가 각각 다르다. 생장 최적, 최고, 최저 온도는 여름작물이나 열대식물은 높고, 겨울작물이나 온대식물, 한대식물은 낮다.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나타내는 지표는 적산온도를 사용한다. 적산온도는 하루의 평균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은 날의 평균온도를 누적시킨 것이며, 기준온도는 보통 0도로 삼는다. 그러나 이 0도가 생장에 실제로 유효한 온도가 아닐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기준온도를 겨울작물은 5도, 여름작물은 1도로 설정하고, 하루 평균온도에서 이 기준 온도를 뺀 차를 누적시켜 생장온도일수로 표시하기도 한다. 밤과 낮의 온도차이는 식물의 생장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대개 주간온도는 높고 야간온도는 낮은 것이 생장에 유리하다. 야간에 온도가 낮으면 당함량이 높아지고, 뿌리로의 당의 이동이 증가하며, 호흡에 의한 탄수화물의 소모가 감소하기 때문에 생장에 유리하다. 밤낮의 온도차이를 DIF라고 하며, 이 DIF가 클수록 신장생장이 좋아지고 그 값이 0이나 음인 경우는 생장이 억제 되어 식물체를 왜화시킬 수 있다. 온실에서 DIF 값에 반응이 좋은 식물로는 백합, 국화, 제라늄, 거베라, 페튜니아, 토마토 등이 있으며, 히야신스, 튤립, 수선화 등은 반응이 약하거나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토양토양수분이 부족하면 세포의 팽압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생장이 억제된다. 세포의 신장에는 광합성산물로 생성된 세포벽물질과 세포 내 용질의 증가가 필수적이다. 토양이 건조하여 체내 함수량이 낮아지면 광합성은 물론 원형질의 수화도가 낮아져 생장이 저하된다. 토양수분은 뿌리의 생장은 물론이고 분포상태에도 영향을 미쳐 수분이 충분하면 지표면 가까이 분포하지만 부족하면 깊게 분포한다. 토양이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는 뿌리생장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토양산소는 뿌리생장, 양분의 능동적 흡수, 토양미생물의 활성화, 무기원소의 유효도 등에 영향을 미친다. 토양산소의 농도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과도하게 높지 않은 한 대기 중 산소농도의 1/3 수준이면 뿌리생장에 적절한 것으로 보고 있다. 벼와 같은 수생식물은 통기조직이 잘 발달되어 있어 근권에 늘 산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토양산도, 토양입자, 토양밀도 등도 뿌리생장에 영향을 미친다. 토양산도는 pH 5~8의 범위가 적당하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여러 가지 생장장해현상이 나타난다. 토양의 입경분포, 즉 토성에 따라 생장속도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사질토양에서는 생장속도가 빠른 대신에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고 노화가 촉진된다. 그리고 토양밀도가 높아지면 콩의 경우 뿌리생장이 억제되며, 뿌리의 세포벽과 카스파리대가 두꺼워지면서 영양흡수가 나빠진다.1.2 식물호르몬다음은 식물호르몬에 대해 알아보자. 식물은 외부 또는 내부의 신호를 감지하고 반응한다. 세포막이나 원형질에는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이 분포하는데, 그들 중 일부는 광자극이나 내생호르몬과 같은 신호를 인지하고 수용한다. 신호를 받아들인 수용체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세포막의 운반체를 활성화시키거나 원형질 내의 특정 분자를 구조적으로 변화시키고 활성화시킨다. 식물호르몬은 식물체가 만들어 내는 일종의 화학적 신호물질(메신저)이다. 호르몬은 동물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인데 그리스어로 ‘자극하다’에서 유래하였다. 식물체에서도 이들 호르몬은 신호물질로 작용하여 여러 가지 생리작용, 생육반응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지금까지 다양한 종류의 식물호르몬이 알려져 있다. 전통적으로 옥신, 지베렐린, 시토키닌, 아브시스산, 에틸렌의 다섯가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 가운데 옥신과 시토키닌은 생존에 필수적인 호르몬이다. 최근에 이르러 식물호르몬으로 인정받고 있는 물질로는 브라시노스테로이드, 자스몬산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다수의 물질이 식물호르몬으로서 기능적 가치가 연구되고 있어 앞으로 새로운 식물호르몬이 계속 발견될 것으로 보인다.1.3 환경과 스트레스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는 기온, 강수, 광, 바람 등의 기후적 요인과, 대기오염, 산성비, 염류농도, 토양반응 등이 화학적 요인, 그리고 잡초, 미생물, 동물, 다른 식물 등과 같은 생물적 요인이 있다. 다양한 환경적 스트레스 요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3.02.06
  • 2021년 방송통신대학교_재배식물생리학_1. 원형질막의 구조적 특징을 양수분의 흡수와 연관 지어 설명하시오. 2. 광합성 과정을 요약해서 설명하시오.
    20 학년도 학기 중간과제물(온라인제출용)?교과목명:재배식물생리학?학번:?성명:?연락처:?과제유형(공통형/지정형):1. 원형질막의 구조적 특징을 양·수분의 흡수와 연관 지어 설명하시오.2. 광합성 과정을 요약해서 설명하시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1. 서론식물세포의 구성요소로 원형질로 세포막안의 내용물, 원형질체가 있고, 세포질은 원형질에서 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시토졸은 세포질에서 소기관 사이에 분포하는 기질을 말한다. 여기서 세포벽의 기능은 첫 번째 식물체 지지나 형태유지와 보호이다. 이때 리그닌, 수베린, 큐틴 퇴적의 작용을 한다. 두 번째 세포 팽압에 대한 저항으로 벽압 작용을 한다. 세 번째 식물 운동 조절로 팽압 변화와 기공 개폐작용을 한다. 벽공과 원형질연락사를 통해서 물질 투과와 정보 교환을 한다.2. 본론(1) 원형질막의 구조적 특징을 양·수분의 흡수1) 원형질막① 성분은 인지질 60~80%과 단백질 20~40%로 되어있다.② 구조는 인지질 이중층과 단백질로 되어있다.③ 유동 모자이크 모델로 세포막은 인지질이중층에 단백질이 표면이나 내부에 들어 있는 구조 로 막 구조 단백질은 탄수화물이 결합하여 있다. 그리고 인지질이중층에 자유롭게 이동도 가능하다.2) 원형질막의 기능① 세포 속 모든 물질을 외부로부터 화학적으로 구획화 시킨다.- 세포 안팎으로 분자의 출입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용매(물)는 일부 통과시키고 특정 용질(하전 된 이온)은 통과시키지 않는다.- 수송 단백질의 선택적 투과로 수송 단백질이 있다.② 화학 물질 인식이나 수용- 화학적 신호 전달을 한다.③ 세포벽 성분의 합성과 세포벽을 형성한다.④ 세포소기관들의 특별한 화학적 환경을 조성한다.⑤ 세포막은 세포소 기관들의 특별한 화학적 환경이다. 여기서 서로 다른 화학반응이 동시에 조 성이 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공존한다.3) 식물의 양·수분의 흡수원형질막은 생체막이 외부로부터 내부로 물질을 받아들인다. 식물의 필요한 에너지 생성을 도우며, 세포막의 형성을 돕는다. 즉 흙 속의 물에서 근모를 통해 용액 중의 무기염을 침투압에 의해 빨아들이면서 식물의 자생력을 키운다.(2) 광합성 과정광합성 기구가 빛 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그리고 빛에 의존하는 단계 또는 빛에 의존하지 않는 단계가 이다. 여기서 빛에 의존하는 단계는 에너지 화폐로 ATP와 화원력인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인산을 합성한다. 또 빛에 의존하지 않는 단계는 앞 단계에 생성되었던 ATP와 NADPH를 이용해 탄소, 질소나 황을 동화한다.광합성을 통하여 세포가 일을 한다. 이때 필요로 하는 에너지는 스스로 전환하는 생물을 광독립 영양생물이라 하다. 원핵세포 생물로 남세균과 진핵세포 생물로 조류나 고등식물처럼 광독립영양생물은 물이 분해되 산소가 발생하는 산소형에 속한다. 이에 반면 녹황세균, 황세균은 혐기성 세균으로 광합성을 물이 아닌 황화수소를 사용하므로 황이 생성된다. 이를 비산소형이라 칭한다.
    방송통신대 | 3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11.24
  • 2021년 방송통신대학교_재배식물생리학_1. 생물체로서 식물의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식물을 분류계급의 문단위로 구분할 수 있는 형태적 특징에 대해 기술하시오. 2. 식물 생육에서 물이 왜 많이 필요한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3. 식물체에서 물관을 통한 물의 이동원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시오.
    20 21 학년도 학기 중간과제물(온라인제출용)?교과목명:재배식물생리학?학번:?성명:?연락처:?과제유형(공통형/지정형):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1. 생물체로서 식물의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식물을 분류계급의 문단위로 구분할 수 있는 형태적 특징에 대해 기술하시오(5점).2. 식물 생육에서 물이 왜 많이 필요한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5점).3. 식물체에서 물관을 통한 물의 이동원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시오(10점).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1. 서론식물은 광합성 작용을 한다. 광합성 작용으로 식물의 양분 이동과 더불어 잎이 자란다. 이러한 작용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외적 요인과 내적 요인으로 들 수 있다. 내적 요인에서 엽록소는 광합성과 밀접한 관련으로 맺고 있다. 그것은 엽록소의 생합성으로 광합성은 촉진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함수량이 적으면 광합성이 억제되는데, 그것은 흡수한 물이 1% 이하가 되면 수분부족으로 인한 기공을 폐쇄하여 광합성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렇게 식물은 광합성을 통하여 식물이 자라는데 큰 공여 도가 높다.2. 본론(1) 생물체의 식물 특징과 분류계급1) 식물의 특징다세포 생물로 움직일 수가 없다. 그리고 특이한 세포 구조를 가지고 있고, 광합성을 한다. 또 독립영양체를 가진다. 이것은 생장에 필요한 유기 양분으로 합성이 가능하다. 지구에는 약 28만종이 존재한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식물은 움직일 수 없지만 다양한 기후에 성공적으로 적응하여 식물의 구조가 매우 효율적이다.2) 식물의 분류계급의 문 단위 형태적 특징① 분류(학)닭은 식물을 묶어서 계급을 부여하는 절차나 학문을 말한다.② 분류군하나로 묶이는 무리를 말한다.③ 분류균의 계급계 → 문 → 강 → 강 → 목 → 과 → 목 → 과 → 속 → 종위와 같이 계급으로 분류하여 문, 강, 목은 상위 3계급에 속하고, 과, 속, 종은 하위 3계급에 속한다.④ 형태학적 구분- 비관속에 하등, 포자, 은화가 있으며 분류군(문)은 선태식물로 16,000 종의 수를 가지고 있으면서 우산이끼가 속한다.- 유관속으로 고등으로 송엽란 식물로 10종의 송엽란, 솔잎란이 속한다. 석송식물은 1,065종의 석송, 속새식물의 25종의 속새가 있다. 양치식물의 9,280종의 고사리류가 속한다. 종자는 나자식물로 900종의 소나무가 속한다. 현화는 피자 식물로 250,000종의 옥수수, 사과, 해바라기가 있다.(2) 식물 생육에서 물이 왜 많이 필요한가?식물의 형태 유지와 체내 물질의 이동이나 대사 작용을 위해서 필요하다. 그리고 세포 팽창과 팽압 조절로 세포 생장에도 도움이 된다. 또 식물 운동 조절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그리고 식물체의 체온 유지를 위한 증산작용을 위해서 물은 식물에 필요하다. 물은 탁월한 용해성을 갖는데 물의 쌍 극성으로 이온이나 극성화합물에 대해서 수 각화 현상을 형성한다. 이때 무기양분과 광합성 식물의 분해나 흡수 또는 이동한다. 그리고 체내의 각종 대사 작용을 원활케 한다. 여기서 식물 뿌리가 흡수하는 대부분 물은 식물체 내로 수송되고 잎의 표면에서 증발하는데 이것을 물의 증산으로 co₂흡수를 촉진해 광합성을 쉽게 하면서 나머지 식물에 잔류 되는 데 쓰이고 또는 대사에 이용한다.(3) 식물체에서 물관을 통한 물의 이동원리관속식물에서 식물체 내에서 액체를 운반하기 위해 특수하게 발달한 세포들로 구성된 관다발을 가지고 있다. 이때 관다발은 물과 필수 무기양분을 나르는 물관부와 당을 운반하는 체관부로 이루어져 있다. 물관이 대부분 속씨식물의 물관부에서 물과 물에 녹아 있는 필수 무기양분이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① 뿌리에서 흡수된 물과 필수 무기양분을 잎과 꽃 등의 식물체 여러 기관으로 보 낸다.② 흙보다 뿌리의 물질 농도가 높아서 흙 속의 물이 뿌리털의 세포막을 통하여 뿌 리 속으로 들어간다.
    방송통신대 | 3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11.24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방통대][방송대][재배식물생리학] 쌍자엽 식물의 잎과 뿌리의 구성, 식물체의 1기생장과 2기생장과정, 세포 및 세포의 소기관에 있어서 원형질막의 중요성, 수분의 수직이동은 왜 집단류에 의해 이루어지는지, 녹말과 설탕의 합성에서 공통점과 차이점, 식물 종자의 휴면 및 발아에 대한 식물 호르몬의 길항작용과 상조작용, 보리와 상추의 발아과정의 차이점, 적색광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과 제 명 :쌍자엽 식물의 잎과 뿌리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다음 내용은 필수적으로 기술되어야 함, 잎의 내부조직, 뿌리 선단의 내부 조직 및 기능별 부위)식물체의 1기생장과 2기생장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세포 및 세포의 소기관에 있어서 원형질막의 중요성을 설명하시오.식물에서의 물관을 통한 수분의 수직이동은 왜 집단류에 의해 이루어지는지를 설명하시오.식물의 수분 흡수에 대해 토양수분퍼텐셜과 토양수분함량의 차이를 설명하시오.토양의 콜로이드화는 어떤 현상인지를 설명하고, 식물의 양분이용 관점에서 어떤 장점이 있는지 기술하시오.왜 C4식물은 C3식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광합성 효율이 높은지 설명하시오.식물체 내 녹말과 설탕의 합성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시오.산소의 유무에 따른 호흡과정의 차이와 효율에 대해 설명하시오.식물 종자의 휴면 및 발아에 대한 식물 호르몬의 길항작용과 상조작용을 설명하시오. (단 관련 식물호르몬은 지베렐린, 시토키닌 및 ABA로 한정한다.)보리와 상추의 발아과정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적색광과 원적색광의 광주기에 대한 영향에 대해 피토크롬과 연관시켜 설명하시오.사과와 포도의 생육기간(세포분열, 세포신장, 성숙, 노화) 동안 호흡량과 생장량의 변화를 비교 설명하시오.정부우세성 정도를 조절하는 호르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시오. (단 관련 식물호르몬은 옥신, 시토키닌 및 스트리고락톤으로 한정한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쌍자엽 식물의 잎과 뿌리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다음 내용은 필수적으로 기술되어야 함, 잎의 내부조직, 뿌리 선단의 내부 조직 및 기능별 부위)쌍자엽 식물의 잎의 대표 조직으로는 표피조직, 기본조직, 관다발 조직이 있다. 잎의 표피는 가 세포 내 물의 이동을 제한하는 특징이 있다. 관다발조직은 내초, 물관부, 체관부로 구성되는데 쌍자엽 식물의 경우 물관부가 십자모양이며 체관부는 물관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쌍자엽 식물의 뿌리 선단에는 생장점이 있어 땅 속 깊숙히 성장해 가게 된다. 뿌리 선단은 성숙대, 근모, 신장대, 분열대, 근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모는 뿌리 털로 표피세포가 돌출된 구조이다.식물체의 1기생장과 2기생장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식물체의 1기 생장은 길이 생장, 2기 생장은 부피 생장이라고 할 수 있다. 1기 생장은 뿌리와 줄기 끝 부분에 있는 생장점이 자라는 현상이다. 뿌리 끝의 생장점을 근단이라 하고 줄기 끝의 생장점을 경정이라고 한다. 2기 생장은 물관부와 체관부 사이에 형성층이 만들어지고 표피 아래에 코르크 형성층이 생성된다. 물관부는 뿌리에서 흡수한 수분과 여러 무기양분이 수용상태로 이동하는 통로이고 체관부는 잎에서 광합성 작용으로 생성된 광합성 산물이 식물체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형성층을 중심으로 물관부와 체관부가 성장하게 되고 코르크 형성층에서 생성된 코르크가 표피에 쌓이면서 목질화된다.세포 및 세포의 소기관에 있어서 원형질막의 중요성을 설명하시오.세포의 원형질막은 인지질 이중층과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원형질막의 막구조 단백질은 탄소화물과 결합하기도 하며 인지질 이중층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이것을 유동모자이크모델이라고 하며 세포막의 유연성과 신호인식 및 반응 효율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형질막은 세포를 외부와 구획하는 경계가 된다. 특히 세포 안팎으로 화학적 분자의 출입을 조절하게 되며 물 등의 용매는 일부 통과시키지만 특정한 용질은 통과시키지 않는다. 또한 원형질막을 이루는 수송 단백질은 세포 안으로 받아들일 물질과 배출할 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역학을 하고 있다. 생명체 내에서는 여러 가지의 물리 화학적 반응이 각 기관, 조직, 세포 내에서 다양하게 일어나며 이러한 작용으로 생명체 내에서 유기적인 기능과 작용이다. 또한 확산에 의해 수분이 이동하는 체관부 적재 과정에서도 확산 역시 물 분자가 많은 쪽에서 적은 쪽으로 자연적으로 이동하는 현상인데 이 역시 평형을 이루려는 자연현상으로써 집단류와 원리적으로 동일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따라서 기압에 따른 물의 자연적 상승한계 및 표면장력 및 응집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모세관현상의 상승 한계를 넘어서는 식물 내 수분의 이동은 증산작용을 통한 수분 퍼텐셜의 저하에서 기인한 집단류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식물의 수분 흡수에 대해 토양수분퍼텐셜과 토양수분함량의 차이를 설명하시오.토양이 함유한 수분을 에너지로 표현하면 운동에너지는 0에 수렴하여 위치 에너지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수분은 에너지의 상대적 차이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데 즉 위치에너지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성질을 갖게 된다. 토양의 수분퍼텐셜과 작물의 뿌리의 수분퍼텐셜을 비교하면 수분의 이동방향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토양의 수분퍼텐셜이 뿌리의 수분퍼텐셜보다 낮다면 뿌리의 수분이 토양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단순히 토양 내 수분함량이 아니라 수분퍼텐셜 차이에 의해 수분의 이동 방향이 결정된다는 것이고 특히 작물이 뿌리와 토양의 수분퍼텐셜 값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토양의 수분 함량과 그 때의 수분퍼텐셜에 대한 상관관계는 토양 수분특성곡선으로 알 수 있다. 식토, 양토, 사토로 구분된 토양의 종류에 따라 토양의 수분 함량에 따른 수분퍼텐셜 값은 아래의 그림과 같은 특성곡선으로 나타난다.[그림1] 대표적인 세가지 무기토양의 수분특성곡선그림1을 통해 식토는 양토와 사토와 비교할 때, 같은 수분퍼텐셜 상태에서 훨씬 많은 수분함량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절대 수분함량이 높다고 해서 수분퍼텐셜도 높다는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식질 토양에서 수분이 토양과 강하게 결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식토에서 작물의 뿌리로의 수분 이동이 불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토양의 특정 수분퍼텐셜 값이 어떤 의미와 특양 콜로이드라고 한다. 이렇게 미세한 입자로 이루어진 토양 콜로이드는 토양의 단위 무게당 표면적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키며, 음전하를 띄게 되어 양이온을 흡착하게 된다. 작물의 생육에 적정한 pH는 작물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중성 및 약산성 토양이 농업에 적합한 토양 상태이며 화학 비료의 과다 사용과 강수량 집중은 토양 내 K, Na, Ca, Ma와 같은 양이온을 흘려 보내게 되며 이것을 염기 용탈 작용 또는 탈염기 작용이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토양이 과도하게 산성화가 되면 작물의 생육에 불리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토양 내에 포함된 무기염류가 식물의 생장에 직접 영향을 주기도 하므로 이처럼 토양 콜로이드의 양이온 흡착 작용이 토양의 비옥도와 관련이 있고 토양 콜로이드의 염기포화도를 실질적 토양 비옥도로 표현할 수 있다.왜 C4식물은 C3식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광합성 효율이 높은지 설명하시오.온도와 이산화탄소의 양, 빛의 세기는 식물의 광합성을 좌우하는 중요 요인들이다. 식물의 광합성은 이 세가지 요인들이 적절한 수준일 때 최대의 효율을 보이는데 강한 빛의 환경 하에서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광합성 량이 많으나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오히려 광합성 량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식물의 광합성에 필수적인 이산화탄소는 대기 조성에서 약 0.3 %의 아주 적은 양을 차지하고 있으며 온도가 높고 일조량이 많은 환경에서는 대기 중 농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열대 지방과 같은 환경에서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부족하기 쉽고 따라서 적정 온도 이상의 고온은 광합성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C4 식물은 C3 식물과 비교할 때 공기 중의 탄소를 고정하는 반응이 한번 더 일어나게 된다. 4탄당 화합물을 이용한 C4회로를 통해 이산화탄소가 부족한 환경에서도 암반응을 지속하며 C3 식물과 대비하여 광호흡을 억제하기 때문에 특정 환경에서는 C3 식물보다 높은 광합성 효율을 보이게 된다.식물체 내 녹말과 설탕의 합성에서 이 광합성 속도 대비 원활하지 못할 경우 엽록체 내에 녹말이 다량 저장되게 되고 이 때 광합성 속도가 저하되어 식물체의 광합성 속도와 탄수화물 합성, 수송, 저장 작용이 조절되는 효과를 가져온다.산소의 유무에 따른 호흡과정의 차이와 효율에 대해 설명하시오.생명체의 호흡이란 광합성산물인 당을 산화하여 생명 유지와 생장,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와 탄소를 획득하는 과정이다. 식물의 호흡 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해 우선 당이 분해되는 해당과정을 거쳐야 한다. 설탕이 6탄당인산, 3탄당인산, 피루브산의 순서로 분해되어 이 과정에서도 소량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해당 과정의 5탄당 인산회로의 작용으로 생성된 물질은 RNA, DNA 합성, 지방산 합성, 해당과정의 중간대사, 페놀화합물 합성 등 식물체 내의 여러 중간대사산물의 기질로 사용된다.해당 이후의 산소 유무에 따라 유산소 호흡과 무산소 호흡으로 호흡 과정이 이어진다.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는 유산소 호흡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해당 과정에서 산출된 피루브산은 미토콘드리아오 진입하여 아세틸-CoA를 형성한다. 아세틸-CoA는 고에너지 화합물이며 아세틸기 전이를 통해 크렙스 회로로 연결된다. 이어지는 크렙스 회로에서는 아세틸-CoA가 물과 이산화탄소로 완전히 산화되며 이 과정에서 다량의 환원력이 생성되며 다량의 자유에너지가 배출되어 ATP에 보존된다. 해당과정에서 산출된 1분자의 피루브산은 4 NADH, 1FADH2, 1 ATP, 3 CO2 및 기타 중간 산물로 산출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ATP는 식물체가 광합성을 하지 못하는 환경 하에서 식물체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게 된다. 호흡의 원료인 당에 저장된 에너지 대비 ATP로 전환되는 에너지는 약 52 % 수준으로 이러한 효율은 인류가 개발해 낸 어떠한 에너지 전환 기관보다 월등한 효율로써 이러한 유산소 호흡 과정을 통해 생명체는 생명 유지와 성장, 생장에 필요한 대량의 에너지를 획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무산소 호흡은 다른 말로 발효라고 한다. 해당과정에다.
    방송통신대 | 9페이지 | 4,900원 | 등록일 2022.06.14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방통대][방송대][재배식물생리학] 1. 식물체 내의 수분의 이동이 왜 집단류에 의해 이루어 지는 지 설명하시오. 2. 어느 식물 조직의 수분퍼텐셜을 구하기 위해 조직무게변화 측정법을 수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아래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조직의 수분퍼텐셜을 구하시오. 3. 육안검사에 의해 식물무기양분결핍증상을 해석하기 어려운 이유에 대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과 제 명 :1. 식물체 내의 수분의 이동이 왜 집단류에 의해 이루어 지는 지 설명하시오.2. 어느 식물 조직의 수분퍼텐셜을 구하기 위해 조직무게변화 측정법을 수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아래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조직의 수분퍼텐셜을 구하시오.3. 육안검사에 의해 식물무기양분결핍증상을 해석하기 어려운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4. 토양의 콜로이드화가 비옥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5. 엽록체 틸라코이드막에 위치한 ATP합성효소와 액포막에 위치한 양성자펌프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시오.6. 온도와 광합성과의 관계를 설명하시오.7. 녹말과 설탕의 합성이 경쟁적인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8. 체관부 적제에서의 심플라스트 수송과 아포플라스트 수송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시오.9. 사과의 밀병이 왜 생기는지를 동화산물의 전류의 관점에서 설명하시오.10. 광포화점 이상에서 광합성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1. 식물체 내의 수분의 이동이 왜 집단류에 의해 이루어 지는 지 설명하시오.집단류란 압력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물분자가 이동하는 현상이며 압력이 높다는 것은 곧 그 지점의 수분 퍼텐셜이 높다고 표현할 수 있다. 식물체 내의 세포 단위 혹은 조직 단위에서는 삼투나 확산에 의한 수분 이동이 발생하지만 식물체 전체를 놓고 보았을 때 식물체의 각 조직과 부분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이동은 수분 퍼텐셜 차이에 의한 집단류에 의해서만이 필요한 양을 충족시킬 수 있다.식물의 뿌리에서의 수분흡수기작을 살펴보면 잎의 증산작용을 통해 식물체 내부 물관 내 압력이 감소하고 수분 퍼텐셜이 저하하여 토양의 높은 수분 퍼텐셜에서 식물체 내로의 수분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확산에 의해 수분이 이동하는 체관부 적재 과정에서도 확산 역시 물 분자가 많은 쪽에서 적은 쪽으로 자연적으로 이동하는 현상인데 이 역시 평형을 이루려는 자연현상으로써 집단류와 원리적으로 동일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따라서 기압에 따른 물의 자연적 상승한계 및 표면장력 및 응집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모세관현상의 상승 한계를 넘어서는 식물 내 수분의 이동은 증산작용을 통한 수분 퍼텐셜의 저하에서 기인한 집단류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2. 어느 식물 조직의 수분퍼텐셜을 구하기 위해 조직무게변화 측정법을 수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아래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조직의 수분퍼텐셜을 구하시오.그래프 상에서 조직무게의 변화가 0인 지점의 만니톨 농도는 약 0.19 mol/L 이다. 상온을 18C로 가정하면,ΨS=용질의 농도*이온화상수*기체상수*절대온도= -0.19*1*0.00831*291=-0.4594따라서 해당 조직의 수분퍼텐셜은 -0.4594이다.3. 육안검사에 의해 식물무기양분결핍증상을 해석하기 어려운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식물에 필요한 무기양분에는 필수원소와 유익원소가 있으며, 필수원소는 식물체의 구성에 반드시 필요하며 다른 원소로 대체할 수 없는 17종의 원소이다. 이 필수원소는 다량원소와 미량원소로 나뉘는데 미량원소의 경우 다량원소에 비해 작은 양이 필요할 뿐이지 식물체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원소임은 분명하다.이러한 필수원소들이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만큼 공급이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생육이 저해되고 결핍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결핍된 각 원소에 따른 결핍증상을 살펴보면 서로 다른 원소의 결핍상태에서 비슷하거나 거의 같은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잎의 황백화, 생육 저해, 엽록체 관련 장해, 괴사나 시듦과 같은 증상들이며 따라서 식물의 결핍증상을 육안으로만 확인해서는 어떤 원소가 결핍되어 증상이 발생했는지 규명하기 어렵게 된다.이렇게 결핍원소에 따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각 원소가 관여하는 공통적인 식물생리현상이 식물의 생육과 성장에 중요한 과정이고, 결국은 이러한 결핍원소로 인해 해당 대사작용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육안으로 보기에는 비슷한 결핍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즉 결핍되는 원소는 상황에 따라 다양할 수 있지만 공통의 생화학적 대사과정에 문제가 생기게 되므로 식물에 발현되는 결핍증상은 동일하거나 비슷하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4. 토양의 콜로이드화가 비옥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토양입자가 0.1μm 이하의 미세하게 형성되어 교질화 된 것을 토양 콜로이드라고 한다. 이렇게 미세한 입자로 이루어진 토양 콜로이드는 토양의 단위 무게당 표면적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키며, 음전하를 띄게 되어 양이온을 흡착하게 된다.작물의 생육에 적정한 pH는 작물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중성 및 약산성 토양이 농업에 적합한 토양 상태이며 화학 비료의 과다 사용과 강수량 집중은 토양 내 K, Na, Ca, Ma와 같은 양이온을 흘려 보내게 되며 이것을 염기 용탈 작용 또는 탈염기 작용이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토양이 과도하게 산성화가 되면 작물의 생육에 불리하게 된다.또한 이렇게 토양 내에 포함된 무기염류가 식물의 생장에 직접 영향을 주기도 하므로 이처럼 토양 콜로이드의 양이온 흡착 작용이 토양의 비옥도와 관련이 있고 토양 콜로이드의 염기포화도를 실질적 토양 비옥도로 표현할 수 있다.5. 엽록체 틸라코이드막에 위치한 ATP합성효소와 액포막에 위치한 양성자펌프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시오.ATP 합성효소는 H+ 이온의 농도가 높은쪽에서 낮은쪽으로의 이동시의 에너지를 이용해 ATP라는 에너지 저장물질을 생성하게 되며, 양성자펌프는 H+ 이온의 농도가 낮은쪽에서 높은쪽으로 ATP를 분해하며 나오는 에너지를 이용해 펌핑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식물체 내에 에너지를 저장하는지 혹은 소모하는지의 차이가 있다.6. 온도와 광합성과의 관계를 설명하시오.식물체의 광합성은 명반응과 암반응으로 이루어지며, 식물체는 빛을 수용하여 명반응을 하게되어 이로써 ATP를 생산한다. 암반응은 이산화탄소를 받아들여 탄소를 고정하는 과정이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Rubisco라는 효소가 작용을 한다. 식물체의 광합성 효율에는 최적의 온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 최적 온도 이하에서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광합성률이 상승하나 해당 온도 이상에서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오히려 광합성률이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온도 변화가 광합성량과 연관이 있는 것은 광합성 과정에서 작용하는 효소들의 활성이 온도에 따라 변하기 때문이며 효소의 작용이 최적이 되는 온도가 광합성량이 가장 많은 최적의 온도가 된다고 할 수 있다.7. 녹말과 설탕의 합성이 경쟁적인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1) 녹말은 식물체 내의 탄수화물의 저장형태이고 설탕은 탄수화물의 운반형태이다.2) 녹말은 엽록체에서 합성되며 설탕은 시토졸에서 합성되어 식물체 내에서의 합성장소가 상이하며 두 가지 탄수화물 모두 3탄당인상(G3P)를 기원으로 하여 합성된다.3) 녹말은 합성될 때 ATP를 소모하며 설탕은 UTP를 소모한다.4) 식물체 내의 무기인산의 농도에 따라 엽록체와 시토졸 간의 3탄당 인산의 배분이 결정된다. 시토졸의 무기인산 농도가 높은 경우 엽록체 내의 3탄당 인산이 시토졸로 운반되어 설탕 합성에 사용되며 시토졸의 무기인산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엽록체 내에 3탄당 인산이 남아 녹말로 합성된다.5) 설탕과 녹말은 3탄당 인산을 공통으로 기원으로하여 합성되는 탄수화물이므로 그 합성과정은 식물체내에서 경쟁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즉, 설탕 합성과 수송이 광합성 속도 대비 원활하지 못할 경우 엽록체 내에 녹말이 다량 저장되게 되고 이 때 광합성 속도가 저하되어 식물체의 광합성 속도와 탄수화물 합성, 수송, 저장 작용이 조절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방송통신대 | 4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2.06.14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예작물학1 중간과제물 공통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목 차 -Ⅰ. 서론Ⅱ. 본론- 1. 양파와 당근의 원산지와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 분류- 2. 양파와 당근의 생리·생태적 특징과 재배법- 3. 양파와 당근의 최근 몇 년간 생산 실적과 면적 변화- 4. 앞으로 채소원예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Ⅲ.결론- 참고문헌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 텃밭채소』, 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18.최은영 외, 『원예작물학 Ⅰ』,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index/index.doⅠ. 서론우리는 실생활 속에서 많은 채소를 섭취하거나 주변에서 접촉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의 경우에는 그 채소들에 대해서 깊게 생각해보거나 연구를 해 본 적이 없습니다. 그리하여 이번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채소들의 원산지부터 생리·생태적 특징, 최근 몇 년간의 생산량과 재배면적을 조사해 보고, 앞으로의 원예 산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저의 생각을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Ⅱ. 본론1. 양파와 당근의 원산지와 생태적, 원예적, 식물학적 분류저희집 부엌과 냉장고에 있는 채소는 대부분 저희집 텃밭에서 재배한 작물들이지만 그러한 작물을 제외하고 구매한 작물로 2개를 선택하였습니다. 하나는 양파, 또 하나는 당근입니다. 양파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와 지중해 지역으로 추청되며, 생태적으로 분류허면 서양이 원산지이며 원예적으로 분류하면, 양파는 입줄기채소인 엽경채류에 속하나 일종의 저장엽인 인경을 이용한다고 하여 인경채류로 별도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양파는 식물학적으로 분류하면 단자엽식물(Monocotylrdonae) 백합과(Liliaceae)에 속하며 영어로는 Onion, 학명은 Allium cepa L.입니다. 당근의 원산지는 동양종은 중앙아시아의 아프가니스탄, 서양종은 터키의 서부지방입니다. 당근을 원예적으로 분류하면은 직근이 비대한 저장기관을 이용하는 근채류에 속합니다. 식물학적으로 분류하면 쌍자엽식물(Dicotyledonae) 미나리과(Umbeliferae)에 속하며 영어로는 carrot, 학명은 그리스어 daucos(따뜻하게 하다)와 라틴어 carota(적색)에서 유래하였고, Daucus carota L.입니다.2. 양파와 당근의 생리·생태적 특징과 재배법①양파양파의 생리·생태적 특징은 파속의 1~2년생 초본식물이며, 염색체수는 2n=2x=16개입니다. 단축경에 잎은 원통형이며 엽초와 엽신으로 구분 됩니다. 지하부에 위치하는 엽초의 기부와 인엽이 비대하여 구를 형성하며 모양은 구형에서 편구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종자는 방패형을 단명 종자에 속합니다. 호냉성 월동작물로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녹식물춘화형으로 식물체가 어느 정도 자란 후 15℃ 이하에서 일정 기간 저온에 노출되면 화아가 분화됩니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저온은 0~10℃이고, 식물체 크기는 기부의 지름이 1cm 이상이며, 저온 요구일수는 대묘가 1개월, 소묘는 3개월입니다. 화아분화 후 온난 장일 조전에서 추대합니다. 결구에 필요한 한계일장은 품종에 따라 다르며, 장일과 강광 조건이 구형성을 촉진합니다. 수확 후 약 1개월 휴면합니다. 발아적온은 15~25℃이며 적온보다 더 낮거나 높으면 발아가 잘 되지 않습니다. 생육에 좋은 온도는 20℃ 내외이며 25℃이상이 되면 구의 비다가 둔해지고 생육이 순조롭지 않습니다. 토심이 깊고 물빠짐이 좋은 토양이 재배에 좋으며, pH 6.3~7.5로 토양적응성이 큽니다. 다비(多肥)에 적응성이 높으므로 유기질을 충분히 사용합니다. 양파는 육묘이식재배를 합니다. 육묘일수는 55~60일 정도이며 발아율이 낮으므로 넉넉하게 파종합니다. 묘상에서 모잘록병의 방제에 힘써야 하고 정식에 알맞은 묘는 초장 30cm, 엽초기부의 지름 6~8mm, 무게는 5g입니다. 대묘를 정식하면 월동 중 저온에 감응하여 추대합니다. 관수의 효과가 크기 때문에 구비대기에 건조하면 과수를 해 줍니다. 지상부가 50~80% 정도 도복했을 때 수확합니다. 맑은 날 상처가 나지 않도록 수확하고 잘 건조하여 저장합니다.② 당근당근의 생리·생태적 특징은 1~2년생 초본식물이며 염색체수는 2n=2x=18개와 2n=2x=22개의 두 종류인데 재배종은 22개입니다. 근출엽형이며 추대하면 줄기가 신장합니다. 뿌리는 사부비대형이며 근형은 원추형인데 길이와 색깔은 품종에 따라 다양합니다. 녹식물춘화형으로 식물체가 저온에 감응하면 추대합니다. 종자는 수과에 해당하며 호광성이고, 저온성이며 광포화점도 낮은 편입니다. 사질토에서 이랑이 높을 때 착색이 잘됩니다. 수분공급이 불규칙하면 뿌리 겉면에 피목(겉눈)이 많이 생겨 거칠어지고 열근이 되고 착색이 나빠집니다. 저온감응 온도는 10℃ 이하인데 4~10℃에서 15일 정도 경과하면 대부분 추대합니다. 식물체의 크기는 동양계는 예민하여 본옆 2~3매, 서양계는 둔감하여 8매 이상 되어야 감응합니다. 낮에 30℃, 밤에 15℃ 정도 되는 시기에 싹이 잘 트며, 하루의 평균온도가 20℃ 정도일 때가 생육이 빠릅니다. 3℃ 이하 28℃ 이상이 되면 생육이 정지하거나 뿌리의 착색이 되지 않습니다. 수분을 잘 보유하면서도 물도 잘 빠지는 양토 또는 식양토가 당근을 재배할 토양으로 좋으며, pH 6.0~6.6에서 잘 자라나, pH5.3이하의 산성조건이 되면 바깥잎이 누렇게 되고 본잎 3~4매 때 생육이 대단히 억제됩니다. 빚의 양에 크게 영향 받지는 않으나 햇빛을 충분히 쪼여 주는 것이 좋으며 흙이 부드러울 정도로 유기물을 충분히 넣어야 뿌리가 잘 큽니다. 직파재배를 하는데 발아율이 낮은 편이고, 고온기에는 발아율이 떨어지고 저온기에는 발아소요일수가 길어집니다.3. 양파와 당근의 최근 몇 년간 생산 실적과 면적 변화① 양파①-1. 최근 생산실적지역별(1)*************020양파양파양파양파생산량 (톤)생산량 (톤)생산량 (톤)생산량 (톤)전국1,144,4931,520,9691,594,4501,168,227양파의 생산량은 약간의 증감이 있으나 비슷한 수준입니다.①-2. 최근 5년간 재배면적(2018~2022)시도별(1)종류별(1)20182019202020212022양파양파양파양파양파계합계26,42521,77714,67318,46117,661논9,6138,1444,9806,3537,117밭16,81213,6339,69312,10810,544양파의 재배면적은 최근 5년간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습니다.② 당근②-1. 최근 생산실적지역별(1)2017201820192020당근당근당근당근생산량 (톤)생산량 (톤)생산량 (톤)생산량 (톤)전국74,02773,14367,327100,875당근의 생산량은 2019년에 잠시 감소하였으나 2020년에 크게 증가하였습니다.②-2. 최근 5년간 재배면적(2017~2021)시도별(1)종류별(1)20172018201920202021당근당근당근당근당근계합계2,2072,1542,0692,6882,976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3.02.06
  • [농학과] 2021년 1학기 재배식물육종학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자식성 식물의 유전적 특성)
    I. 서 론육종은 변이집단에서 우량한 유전자형을 선발하여 신품종으로 육성보급하는 과학기술이다. 재배식물에서 생산성, 품질, 병해충 저항성, 환경 적응성 등 농업형질의 유전적 능력을 개량하여 우량품종을 육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농업경영의 합리화와 유전자변형 신품종을 육성할 수 있다.육종방법은 대상식물의 생식방법 및 변이의 작성과 선발방법 등에 따라 나눈다. 육종방법을 결정할 때에는 육종목표, 면적, 시설, 인력, 경비, 육종연한 및 육종가의 능력을 고려한다. 육종사업에 의한 신품종의 출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신품종의 보급에 따른 중수효과로 얻어지는 경제적인 이익이 매우 큰 경우가 많다. 신품종이 육성됨으로써 작물재배의 지리적인 한계나 계절적 한계가 확대된다.신품종의 육성으로 품질을 개선하여 인간의 감각적인 만족감을 느끼게 한다. 이는 원예작물이나 특용작물에서 그 예가 많다. 냉해병해충해 등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 신품종의 육성 보급으로 재배의 안전성을 증대한다.자식성 식물은 인공교배로 1대잡종종자를 얻기 어렵고 순계의 생산성이 높아 하이브리드 육종을 하지 않았었으나 최근에는 웅성불임을 이용하여 1대잡종종자를 대량 얻을 수 있는 채종방법이 개발되어 하이브리드 육종을 하고 있다.인공교잡에 의한 육종법에서 F2이후 잡종 분리 세대를 취급하는 방법의 차이에 따라 계통 육종법과 집단 육종법으로 대별할 수 있고 이를 적절히 절충하거나 변형시킨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이 레포트는 자식성 식물의 유전적 특성을 설명하고, 대표적 육종법인 계통육종법과 집단육종법에 대해 비교 설명하였다.II. 본 론1. 자식성 식물의 유전적 특성1) 자식성 식물자식성 작물은 같은 꽃 또는 개체의 꽃가루에서 수정하는 작물이다 문원, 유덕준, 재배식물생리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김태성, 재배식물생리학 강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1.. 여기에 속하는 자식성 작물은 아래와 같다.• 벼과작물: 벼, 밀, 보리, 귀리, 수수, 조 등• 콩과작물: 콩, 녹두, 완두 등• 산업작물: 담배, 목화, 아마, 황마 등• 원예작물: 가지 고추 상추 등• 사료작물: 토끼풀 등- 중략 -
    방송통신대 | 9페이지 | 11,500원 | 등록일 2021.04.27
  • 재배학원론
    2020학년도 2학기 출석수업대체과제물(온라인 제출용)교과목명 : 재배학원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과 제 명1. 염기가 용탈된 토양을 개량하기 위한 근본대책을 설명하시오(10점).2. 작물의 저온장해와 장해대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10점).3. 화성유도의 주요요인들을 체계적으로 서술하시오(10점).[1번 문항 목차]Ⅰ. 서론 ? 염기용탈과 작물 생육Ⅱ. 본론 ? 염기 용탈 토양 개량 대책Ⅲ. 결론 - 우리나라 토양과 작물 재배대책 강구Ⅳ. 참고문헌1. 재배학원론, 류수노·김관수·우선희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P114~1182. 토양학, 김계훈 외 4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제5장[2번 문항 목차]Ⅰ. 서론 ? 온도와 작물 생육Ⅱ. 본론 ? 작물의 저온 장해의 종류와 구제대책Ⅲ. 결론 ? 저온장해 예방을 위한 제언Ⅳ. 참고문헌1. 재배학원론, 류수노·김관수·우선희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P197~206[3번 문항 목차]Ⅰ. 서론 ? 작물의 일생(생육과 개화)Ⅱ. 본론 ? 화성유도의 주요요인Ⅲ. 결론 ? 화성유도요인을 활용한 농업 재배 기술 활용Ⅳ. 참고문헌1. 재배학원론, 류수노·김관수·우선희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P228~2441. 염기가 용탈된 토양을 개량하기 위한 근본대책을 설명하시오(10점).Ⅰ. 서론 ? 염기용탈과 작물 생육작물의 건실한 생육을 위해서는 그에 알맞은 환경 조건이 필요하다. 특히 작물이 생육에 필요한 각종 양분을 흡수하는 토양의 환경 조건이 매우 중요한데, 토양의 양분은 pH에 따라 유효도가 달라진다. 한편, 토양 교질에는 Ca2+, Mg2+, K+등의 치환성 염기가 존재하는데, 이것은 탄산에 의해 용탈된다. 토양유기물이 분해될 때 발생하거나 공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는 물에 녹아 탄산을 형성하므로, 강우가 많거나 관개를 하면 탄산의 형성이 많아지고, 염기 용탈이 촉진된다. 이렇게 염기가 용탈된 토양은 산성을 띠며, 토양이 산성화되면 칼슘, 인산 등의 양분 유효도가 낮아지고 유용 미생물의 활성이 저하되며, 알루미늄 등 중금속의 용해도가 증가되어 작물 생육이 피해를 입기 쉽다. 이렇게 염기가 용탈된 토양은 작물의 생육부진을 야기하므로 이를 개량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Ⅱ. 본론 ? 염기 용탈 토양 개량 대책염기가 용탈된 토양의 근본적인 개량 대책은 부족한 염기를 채워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염기가 용탈된 토양은 산성을 띠게 되니 이를 교정해야 한다. 먼저, 이를 위해 염기성 물질인 석회를 시용한다. 이를 통해 토양의 pH를 높이고, 미생물 활성을 증대하며, N과 P의 유효도를 높인다. 보통 생석회, 소석회 등이 사용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정량을 시용하는 것과 토양과 충분히 섞이도록 하는 것이다. 석회의 양은 토양의 pH와 토성에 따라 다르며, pH가 동일해도 점토나 부식 함량이 많은 토양은 석회의 시용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또한, Ca 과잉해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번에 걸쳐 나누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석회 시용의 정량은 전산도에 의한 방법이나, 완충곡선에 의한 방법, 그리고 토성과 부식함량만을 사용하는 간이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석회를 사용하여 토양의 산성도를 해결하게 되면, 필수 미량 원소의 유효도가 감소할 우려가 있으므로 미량 원소를 함께 시용해주면 좋다.또한, 석회 시용 시, 유기물을 함께 주면 석회가 땅으로 침투되는 능력을 높여서 석회의 중화효과가 더 깊은 토층까지 가능해진다. 또 유기물 시용에 의해 토양 구조가 개선되고, 부족한 미량 원소들이 공급되며, 완충능이 증대되어 알루미늄 이온 등의 독성이 경감된다.또 다른 비료인 용성인비는 산성토양에서도 가용성 인산을 함유하고, 마그네슘 함량도 많아 시용 효과가 크다. 염기가 부족한 환경, 즉 산성에서 적응 능력이 높은 작물 또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는 것은 토양 현실을 적절히 이용한 재배적 대책이라 할 수 있다. 염기 용탈의 사전적 조치로서 토양의 나지 기간을 단축시키는 것도 방법이다.Ⅲ. 결론 ? 우리나라 토양과 작물 재배대책 강구우리나라의 토양은 작물을 재배하기에 썩 좋은 조건은 아니다. 우리의 토양은 염기가 부족한 것이 많으며, 이로 인한 산성 토양이 많이 존재한다. 과도한 화학 비료의 시용과 환경오염으로 인한 산성비도 이러한 우리의 토양 조건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대로 토양에서 염기가 용탈되어 토양이 산성화되면 작물의 생육에 이상이 발생하고 이것은 곧 작물 재배의 곤란으로 농업인 소득 감소 등의 문제가 생기므로 이를 타개할 수 있는 다양한 과학적 방법이 필요한 시점이다.2. 작물의 저온장해와 장해대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10점).Ⅰ. 서론 ? 온도와 작물 생육작물이 생존하는데는 광합성, 호흡 등 종합적인 생리작용들이 동반되어야 하며, 그 작용들은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작물마다 생육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의 범위는 정해져 있으며, 생육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최적온도, 견딜 수 있는 최저온도와 최고온도 등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최저 또는 최고온도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작물의 생육에 지장이 있게 된다. 여기서는 저온이 작물에 미치는 영향과 그것을 구제할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Ⅱ. 본론 ? 작물의 저온 장해의 종류와 구제대책냉해란 벼나 보리 등의 여름작물의 조직 내에 결빙이 생기지 않는 범위의 생육 적온 이하의 냉온에서 받는 저온장해를 말한다. 냉해를 입으면 광합성 능력과 양분의 흡수, 단백질 합성과 효소활성 등이 저하된다. 또한 동화물질이나 식물호르몬 등의 전류·이동이 저하되고, 꽃밥 및 화분세포의 이상을 일으켜 불임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처럼 생육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냉해에 대한 대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벼의 경우 통일계보다 일반계 품종을 선택하는 등 저항성 및 회피성 품종을 선택한다. 또한 수온을 높이기 위해 객토를 하거나 밑다짐을 실시하고, 경사도는 0에 가깝고 너비가 넓고 깊이는 얕은 온조수로를 설치하거나 OED와 같은 수온상승제를 살포한다. 재배 시에는 보온육묘 실시로 조파·조식하여 등숙기의 냉해를 막는다. 또한 인산, 칼리, 규산, 마그네슘 등을 충분히 공급하고, 종자를 드물게 뿌리고 얕게 심어서 건실한 생육을 도모하고, 벼의 경우 물을 깊이 대서 냉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한편 또다른 저온장해로 작물이 월동하는 도중에 겨울의 추위에 의해 받는 동해·습해·건조해·설해 등과 관계된 한해가 있다. 한해는 조직내의 결빙에 의해서 일어나는 동해이기도 한데, 즙액의 농도가 낮은 세포 간극의 결빙인 세포외결빙이 먼저 발생하며, 이 때, 온도 상승으로 결빙이 급격히 융해되면 원형질이 물리적으로 파괴되어 죽게된다. 이러한 한해에 대한 대책을 예방책, 응급대책 및 사후대책으로 구분하여 알아보자. 먼저 예방책으로 작물의 입지 조건 개선을 들 수 있다. 찬바람을 막는 방풍시설을 설치하고, 토질을 개선해 생육을 건실하게 한다. 또 내동성이 큰 작물이나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고, 보온재배를 하거나 이랑을 세워 뿌림골을 깊게하면 효과적이다. 한편, 봄철에 늦추위가 올 때 등 응급책이 필요할 때는 물이 지열의 발산을 막는 관개법을 실시하여 약한 서리 정도의 피해를 막거나 상공의 따뜻한 공기를 지면으로 보내 작물 부근의 온도를 높이는 송풍법을 실시해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불을 피워 방열을 막거나, 비닐, 짚 등으로 식물을 피복하여 방열을 방지한다. 또, 연료를 계속 태워서 그 열을 작물에 보내거나 물이 얼 때 발생하는 잠열을 이용하기 위해 물을 작물 표면에 뿌리는 살수빙결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미 동해를 입은 경우 피해가 가벼우면 속효성 비료를 주어 생육을 촉진하고, 피해가 심한 것은 대파를 강구해야하며, 병충해가 만연되지 않도록 철저히 방제한다. 과수류에서는 적화를 늦추어 낙화를 방지한다.Ⅲ. 결론 ? 저온장해 예방을 위한 제언최근 들어 이상 저온, 집중 호우 등 지구의 기온이 예년과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농업에 심각한 도전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온도 조절형 온실 개발 등 첨단형 재배적 개선 대책과 저항 품종의 개발의 R&D 투자 등이 지속되어야 한다.3. 화성유도의 주요요인들을 체계적으로 서술하시오(10점).Ⅰ. 서론 ? 작물의 일생(생육과 개화)작물은 싹이 트고, 꽃눈을 형성하고 꽃이 피고 결실을 맺는 등 몇 개의 발육상을 거쳐 발육이 완성된다. 여기서 꽃눈을 형성하는 화성의 단계가 매우 중요한데, 이것은 작물이 영양생장단계를 마치고 생식생장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작물 일생의 크나큰 전환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일어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방송통신대 | 4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02.15 | 수정일 2024.11.29
  • 농학1) 재배식물생리학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생리학적 요인에 관해 설명하시오.
    방송대출석대체과제물재배식물생리학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생리학적 요인에 관해 설명하시오.개설학과농학과교과목명재배식물생리학개설학년2학습범위교재 : 1 ~ 14장멀티미디어강의 ... : 1강 ~ 14강재배 식물 생리학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생리학적 요인에 관해 설명하시오.- 작성형식 : 자유목차1. 서론2. 본론1) 식물의 생식기관2) 작물의 생산성을 증대 ... 시키기 위한 생리학적 요인3. 결론4. 참고문헌1. 서론인간이 생존에 필요한 식량, 즉 사료, 바이오에너지용 바이오매스, 기호료, 약료, 섬유료 등 이러한 물료를 얻기 위해서 재배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22.10.18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식물유전자원 2차대사산물의 중요성과 이용전망 산업적이용가능성 자원식물의 지표성분과 유효성분을 비교 설명하시오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식물유전자원 2차 대사산물의 중요성과 이용전망 1) 식물유전자원 2차 대사산물의 중요성 2) 식물유전자원 2차 대사산물의 이용전망 2. 유채의 성분개량 성과 1) 유채 2) 유채의 성분개량 성과 3. 자원식물의 지표성분과 유효성분, 약효성분 비교 1) 지표성분 2) 유효성분 3) 약효성분 4) 비교 III. 결 론 참고문헌 I. 서 론 예전부터 산과 들에 있던 식물은 우리 조상들의 허기를 달래주었고, 또 한방에서는 식물의 부위에 따라 치료약으로도 쓰이곤 했다. 이렇듯 식물은 배고픔을 잊게 해줬고, 상처를 치유해 줬고, 관상용으로도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자원식물의 정의를 살펴보면 과거에 이용되어 왔고 앞으로 이용될 수 있는 식물로, 현재 인류가 재배하고 이용하고 있는 작물 이외에 이용목적이 뚜렷해 다소의 노력으로 선발, 탐색, 순화하여 재배할 수 있거나 야생상태의 식물을 채취해 간단하게 가공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식물을 말한다. II. 본 론 1. 식물유전자원 2차 대사산물의 중요성과 이용전망 1) 식물유전자원 2차 대사산물의 중요성 식물유전자원은 현재부터 미래의 농업, 식생활 등에 굉장히 유용하며 인류가 변화하고 진화하며 축적되어진 잠재적 가치를 지닌 물질이다. ‘대사산물’은 이러한 유전 물질 등의 대사에 관여하거나 물질이 대사되어지는 과정에서 생성되어지는 물질을 일컫는다. 이는 생산되는 물질의 종류 혹은 과정 등에 따라 1차 대사산물 및 2차 대사산물로 분류되어진다. 2차 대사산물은 식물세포에 존재하지 않고 기본적 세포분열, 세포기능, 생장유지 등과 같은 기능역할과는 관련이 없으나 식물체가 주위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병해충침입 및 공격에 대항하기 위하여 생성하는 방어물질이다. 이처럼 식물자원의 저장에너지를 활용하는 길은 크게 나눠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식물이 함유하는 1차대사산물인 탄수화물?지방유?셀루로오스 등과 같은 것을 식품?식량?목재?종이 등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양적으로도 대량 생산되는 식물성분이다. 이와는 달리 2차대사산물은 매우 적은 양만이 식물에 함유되어 있다. 세계 각국은 식물의 2차대사산물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이 분야 연구를 강화하고 있다. 천연물로부터 의약품 개발은 물론 특수기능성 식품재료?향료?염료?화장품의 개발 등으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는 것이다. 1965년부터 1990년 사이 미국에서 판매된 조제약품의 1/4이 속씨식물에서 확인된 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었다고 한다. 2) 식물유전자원 2차 대사산물의 이용전망 경제발전과 더불어 생활은 많이 풍요로워졌으나 산업화에 따른 각종 스트레스의 증가 등 부작용도 굉장히 크다. 각종 스트레스에 오랫동안 노출되어지면 인체 내의 면역능력이 감소해 각종 치매증?암?혈관?골다공증 및 뇌혈관 장애?당뇨병?관절염 등의 질병을 일으킨다고 한다. 이런 목적으로 면역증강제는 세포노화에 따른 면역기능 회복에 사용되어지며, 세포 면역기능 장애치료에 사용되어지고 있고 바이러스 감염?영양결핍 등 그 치료영역이 다양해지고,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또한 2차 대사산물은 성장 단계가 끝나고 합성되는 1차 대사산물의 최종 산물이다. 1차 대사산물과 달리 식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오히려 인간에게 더욱더 유용하게 활용된다. 세계적으로 이를 생성할 수 있는 30만 종의 식물 중에서 매년 1천 5백 종의 식물체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고 있다. 2. 유채의 성분개량 성과 1) 유채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유채는 양배추, 배추, 브로콜리 등과 함께 십자화과에 속하는 경관 식물이다. 이는 그 쓰임이 굉장히 다양하다. 봄을 알리는 반가운 꽃으로 관광 상품의 역할을 하며, 포화지방은 7% 정도로 다른 식용유에 비하여 굉장히 낮고 불포화지방산 등의 함량은 매우 높은 건강한 기름으로, 어린 싹은 여리고 쌉쌀한 맛과 달큼한 향이 매력적인 봄나물로, 종실이 달린 유채와 기름을 짜고 난 찌꺼기 모두 사료로, 벌들에게 꿀을 공급하는 밀원으로서 가치가 있다. 2) 유채의 성분개량 성과 우리 나라에서 육성된 품종도 0.38㎎ 이하로 낮게 함유된 품종들이다. 이와 같이 기름에 에르크산이 없고 깻묵에도 글루코시노레이트 성분이 없거나 매우 낮은 유채품종을 육종가들은 간단히 줄여서 더블제로(double zero) 품종이라고 한다. 유채기름의 지방산 생합성과정은 탄소 수가 낮은 지방산에서 높은 지방산 방향으로 생합성이 이루어지는데, 그 경로에는 다음의 두 가지가 있다. 탄소수가 18인 올레산에서 탄소 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지방산 합성이 이루어지는 경로, 2중결합이 하나인 올레산에서 2중결합이 2개, 3개로 증가하는 방향으로 지방산 합성이 이루어지는 경로, 유채의 지방산조성 개량은 올레산에서 불량 지방산인 에이코세노산과 에루진산이 합성되는 부분을 차단하는 것이다. 3. 자원식물의 지표성분과 유효성분, 약효성분 비교 1) 지표성분 화학적으로 규명된 성분 중에서 약재의 품질관리를 목적으로 설정한 식물체 고유의 성분을 말한다. 지표성분의 조건은 활성이 크며 함량이 많고 대상식물의 고유성분이며 또한 분석이 가능한 성분이어야 한다. 약용작물의 지표성분을 보면 시호 - 사이코사포닌 a 0.3% 이상, 감초 - 글리시리진산 2.0% 이상, 황련 - 베르베린 4.2% 이상, 황백 - 베르베린 0.6% 이상이 되어야 한다. 2) 유효성분 유효성분이란 내재한 약리작용에 의하여 그 의약품의 효능·효과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현한다고 기대되는 물질 또는 물질군(약리학적 활성 성분 등이 밝혀지지 아니한 생약 등을 포함한다)으로서 주성분을 말한다. 지표성분이란 의약품의 유효성분 또는 주성분인 생약 중에서 화학적으로 규명된 성분중에서 품질관리를 목적으로 설정한 성분을 말하며 반드시 유효성분이 아니어도 된다. 즉, 원료 중에 함유된 화학적으로 규명된 성분 중에서 품질관리의 목적으로 정한 성분을 말한다. 3) 약효성분 주요 약용식물의 성분은 대부분의 경우 밝혀졌으나, 이들 성분들의 약효가 과학적으로 증명되어 보고된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어느 특정 약용식물로부터 분리된 성분이 그 약용식물이 나타내는 유효성분으로 밝혀진 예는 근래에 많이 보고되고 있다. 4) 비교 일반성분은 식물의 기본골격을 이루거나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소와 에너지원이 되는 성분들이므로 한약재 성분으로서의 중요성은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배당체?알칼로이드(alkaloids) 등의 화합물들은 특유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성분들을 유효성분(available constituents)이라고 한다. 유효성분들 중에는 동물체내에 흡수되었을 때 치명적인 생리작용을 하는 화합물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독작용이 있는 물질을 독성물질이라고 하는데 유효성분과 독성물질간에는 한계가 애매하다. 또한 한약재가 가지는 성분들 중에서 한약재 각각이 가지는 독특한 성분을 지표성분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지표성분이 한약재의 유효성분 또는 약효성분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근래에는 천연물과학에 대한 지식과 분석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각종 성분과 물질에 대한 많은 부분이 새롭게 이해되거나 밝혀지고 있으므로 앞으로는 이러한 부분들이 더욱 명확하게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III. 결 론 우리 주변에는 여러 가지 자원식물들이 존재한다. 우리는 살면서 단 한번이라도 약용자원식물의 효능을 알고 이것을 이용해 본적이 있을까? 나도 자원식물학 이라는 과목을 학기 수업을 통해서 듣지 않았다면, 약용식물의 효능을 모르고 약용식물을 이용하지 못한 체,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양약에 의지하여 삶을 보냈을 것이다. 그럼 자원식물이란 무엇일까? 식물 중에서 뿌리나 줄기, 잎, 열매등을 인간생활에 직,간접적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식물자원을 자원식물이라고 한다. 또한 인간생활에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는 야생식물, 자생식물, 귀화식물뿐만 아니라 재배법이 확립된 모든 식물자원을 자원식물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우리 주변에는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자원식물들이 존재하며, 이 자원식물들은 대체로 삶속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것이다. 나는 농학 과제를 하면서 자원식물식물학적 특성과 친환경 농업 및 약용자원 식물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류수노, 이봉호, 이병윤, 자원식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류수노, 자원식물학 강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2.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3.02.08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식용작물학2 방통대 농학과 과제
    배양 감자줄기의 대량증식」. 식물생명공학회지. 류수노 외 1인. 2017. 『식용작물학Ⅱ』. 한국방송통신대학교문화출판원. 류수노 외 1인. 2021. 『재배학원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학회. ... 하는데 있어 최대 장점은 배가반수체 식물에서 열성유전자의 동형접합성 계통 개발이 이전의 육종기술보다 빠르다는 점이다. 때문에 약배양은 유전학자들과 식물 육종가들에게 매우 가치 있 ... 2024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온라인 제출용) ? 교과목명 : 식용작물학2 ? 학번 : ? 성명 : ? 연락처 : ? 과제유형 (공통형/지정형) : 지정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5.01.23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원예작물학1, '채소작물 잎의 결구현상을 (1) 엽구형성과 (2) 인경형성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3) 엽구의 종류와 품종에 따른 차이와 (4) 엽구형성에 미치는 내적외적 요인을 설명하고 (5) 마늘과 양파의 인경구 형성 차이를 설명하라.'
    작물학I,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양파, 농업기술길잡이 96, 2018, 농촌진흥청.마늘재배, 농업기술길잡이 117, 2018, 농촌진흥청.배추, 농업기술길잡이 128, 2019 ... 중간과제물(온라인제출용)교과목명 : 원예작물학1학 번 :성 명 :연 락 처 ... 원예작물학1-03강_강의자료.1. 채소작물 잎의 결구현상 - 엽구형성1) 결구현상엽채류 가운데 배추, 양배추 등은 단축경을 중심으로 넓고 두꺼운 엽신이 서로를 감싸면서 엽구를 형성
    리포트 | 5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2.09.30 | 수정일 2022.10.28
  • 가장 최근에 육성된 재배식물을 선정하고, 그 품종이 육성된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시오.
    2015학년도 2학기 과제물(온라인제출용)교과목명: 재배식물육종학학 번:성 명:연 락 처: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o 과제유형 : A 형o 과 제 명 : 가장 최근에 육성된 재배식물을 선정하고, 그 품종이 육성된 과정을상세히 기술하시오.서론2014년 기준 통계청 대한민국 국민의 3대 사망원인은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이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사망원인의 47.7%에 해당하며 작년 대비 0.3% 증가되었다고 한다.바쁘고 스트레스 많은 현대인에게 발병하기 쉬운 3대 사망원인을 이겨낼 수 있는 효과적인식재료는 무엇이 있을까? 필자는 ‘음식이 보약이다’라는 기본에 충실하여 3대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식재료에 초점을 맞춰 재배식물을 선정해 보았다. 선정의 기준은 3가지 질병에 도움을 주고 쉽게 구입할 수 있고, 꾸준한 수요의 증가가 예상되는 미래지향적인 작물로 선정하였다.이러한 기준에 부합하는 재배식물은 바로 마늘이다. 2015년 1월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혈중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주는 건강식품 기능성 원료로 마늘을 인정하였다. 마늘은 독특한 향을 내는 알리신, 유황화합물과 기타 영양소에 의하여 피로회복과 자양강장에 도움을 주고 혈전을 방지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면서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는 채소류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및 국립종자원의 공시 자료를 통해 올해 4월, 보호등록 중인 품종, ‘홍산(원교57025호)’(이하 홍산이라고 한다.) 마늘에 대하여 품종의 육성된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홍산 마늘의 특장점 개요한지형 신품종인 홍산은 최초로 연구개발된 전 지역에서 재배할 수 있는 6쪽 마늘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3년)에 따르면 국내 마늘 생산량은 41만2천톤으로 2010년 이후부터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세계 전체 수출량의 1%를 수출하고 있으며 약 5천톤의 마늘을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기에, 노련한 전문가를 통해 선정하는 것이 신품종을 보다 효율적으로 선발해 내는 방법이다.육종의 재료를 결정한 후에 본격적으로 적합한 육종방법과 기술을 동원하여 우량품종을 순계선발하여, 신품종으로 채택하게 되는 것이다.그러면 이러한 마늘의 육성, 홍산의 육성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알아보기로 한다.육성목표와 목표형질 설정위에서 언급한 내용과 같이, 마늘은 다른 작물에 비하여 국내 자급률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해외에서의 우리나라 수출의 정도는 1% 정도 수준으로 아직까지 국내 판매와 소비에 집중되어 있다. 최근에는 한중 FTA로 인하여 중국의 가격경쟁력이 높은 작물들이 시장에 포진되면서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고 수출을 활발하여 장려하기 위한 10년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에 의하여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2015년에서 2024년까지 총 10년간 마늘의 추가소비에 대한 계획된 목표 물량은 대략 49만여톤으로 우리 돈 1조 6540만원에 해당한다고 한다. 현재 41만2천톤을 소비하고 있으니, 10년 후에는 현재 대비 12%의 소비 증가가 있어야 하고 현재의 소비량 추이를 고려해 본다면 내수시장이 아닌 해외 수출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마늘의 가격, 비용적인 면에서는 국내 마늘은 인도나 중국의 가격을 웃돌고 있어, 수량성을 증대시키고, 또한 어느 지역에서도 재배가 가능한 안정성이 높은 신품종을 개발해야 하는 시점에서 홍산 마늘과 같은 품종 육성 계획이 시행된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이어 육성 목표를 수행하기 위하여 마늘의 생산성, 품질, 저항성, 적응성 등의 주요 4가지 목표형질에 대하여 경험이 많은 전문가의 철저한 고증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 육종 재료가 선정된다. 생산성은 저장기관(엽면적지수 등과 연관)을 더욱 크게 하여 광합성 효율을 높이고 광합성 작물을 효과적으로 이동, 저장하기 위한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량성 측면 외에도, 소비다수성 품종과 같은 비료 및 농약을 적게 사용하여 재배할 수 있는 작물은 유가능한, 한지형과 난지형 대체가능 품종이므로 환경적 스트레스에 유연하고 지리적 적응성이 우수한 품종임을 4가지 목표형질을 통해서 가늠할 수 있다.[표1. 수량성 지역 적응성 시험, 국립원예특작과학원]육종 재료의 선정육종 과정에서 육종목표를 설정하고 목표형질을 고려하였다면, 사용용도에 부합하는 알맞은 육종 재료를 선택해야 한다. 교재모본은 품종의 형질과 특성을 잘 알고 있는 경험이 많은 육종가에 의하여 선정하는 것이 좋고 이러한 교배친은 결점이 없고, 자방친과 화분친은 유전조성이 비슷한 것으로 선정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환경에 적응하여 우량 유전자를 다수 축적한 주요품종과 재래종을 육종하는 것이 좋은 데, 주요 품종의 부족한 부분을 재래종으로 보완하고, 우량품종 육성 실적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적 형질은 오차를 감안하여 여러 번 조사해서 신뢰도를 높이고, 수집한 유전자원의 특성평가는 동일 장소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목표형질의 유전분석은 효과적인 교배친 선정과 육종에 크게 도움을 주므로 결과를 참조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육종 재료의 선정에서 홍산 마늘은 한지형 마늘과 난지형 마늘을 육종 재료로 선정하였고, 결과적으로 한지형, 난지형의 생태적 특성에 수량성을 더욱 높인 6쪽 마늘을 발현하였다.육종방법의 결정홍산 마늘의 육종 방법을 말하기 앞서, 마늘의 육종방법은 크게 도입육종과 교배육종으로 구분된다. 국가적 차원에서 농업기술 개발을 장려한 1970-80년에는 국내 마늘 품종은 자웅불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배육종이 아닌, 해외의 우수 품종을 채택하여 식재 후에 종자를 재배하는 도입육종을 생산에 이용하였고 해당하는 품종은 대표적으로 난지형 마늘인 남도, 대서, 자봉마늘이 있다.그러나 1985년 일본 가고시마대학의 Etoh Takeomi와 독일 뮌헨대학의 Konvicka는 논문 저서에서 가임성을 가진 마늘에 대한 연구 내용을 발표하였는데,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의 중앙아시아에 서식하고 있는 Allium longicuspis(학명, Allium sa의 교배로 방법에 따라 50~200개체 수준이며, F2의 생장번식에서 무려 2,000-10,000개체 중, 유전력이 높으면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형질을 선발하게 되고 F3에서는 환경의 영향이 크지 않은 상태에서 계통 재배를 하고 개체, 계통선발 한다. F3에서 표준품종에 의하여 선발된 계통군에서 3-6개체를 선발하게 되며, F4 이후부터는 F3와 같은 계통선발과 개체선발을 F4, F5 이후에서도 반복으로 생장번식 하면서 계통 형질이 80% 이상 고립되어 순계로 선발되면 마침내, 이를 품종화하기 위하여 생산성 및 수량성 검증에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높은 고정도를 가진 3-6개체를 선발, 집단 채종하여 생산성 검정 예비시험을 받아 선발된 우량 계통을 일정한 재배조건 하에서 다시 2-3년 동안 재배하여 생산성을 충분히 검정하며, 생육단계별 특성 조사와 품질 검정 등의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한다. 이후, 고유의 계통번호를 부여 받는데, 일련번호를 통하여 같은 방법으로 지역적응성 검정시험인 농가실증 시험까지 완료되면 신품종으로의 요건이 완료된 것으로 본다. 지역적응성 검정시험에서 선발된 우량계통은 철저한 심의를 거쳐 신품종의 자격을 부여 받는다.이러한 계통육성법은 생장생식의 반복과 계통 특성검정 등에 의하여 신품종이 개발될 때까지 상당한 노동력이 소모되고 많게는 수십 년의 기간이 소요되나, 육종가의 정확한 선발로 효율적으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이점과 선발된 계통의 육성과정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고 다양한 형질을 지닌 종자의 유전적인 특성 등을 관리,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질을 구현할 수 있다.2003년부터 11년 동안 진행된 홍산 마늘의 육성 방법 역시, 그 과정을 살펴볼 때, 위의 계통육종법을 그대로 구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농총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교배친의 인공교배로 F1을 생산하고 위의 계통분리 및 계통육종법을 따라, 6번의 생장번식으로 순계 선발 및 신품종으로써의 기본적인 요건이 충족되었으며, 작물의 생산력(생육과 수량성 등)을 며 작물의 육종 방법과 과정, 재배 방법 및 기술, 신품종 요건 및 등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제조업체에서 신제품을 개발하는 데에 적게는 6개월에서 많게는 2-3년이 걸린다면, 식물이 하나의 품종으로 등록되기까지 이를 위하여 수십 년 동안 노력하는 육종가 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이 든다.대한민국이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고 선진국과 나란히 발전하는 현재의 모습을 갖게 되기까지 국가 농업의 발전적인 성과와 지속적인 노력이 없었다면 아직도 많은 인구가 식량부족에 낙후된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었을 것이다. 우리나라가 이토록 비약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었던 기반이 되어준 것은 국가의 농업 발전이 아니었을까 생각해 본다.이제 우리는 먹거리가 충분하고 의식주 생활하는 데에 불편이 없는 사회를 만들었지만, 반대로 에너지 과잉 시대에 대한 심각한 우려 상황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작게는 농업에 사용되는 비료 등의 유해물질과 작물 재배를 위한 경작지 확대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실제로 경험하고 있고, 이로 인한 자연 재해와 유전적 질병 확산 등에 누구도 자유롭지 못하다. 풍요로운 사회, 그 비관적인 이면을 충분히 인식하고 모두가 지속 가능한 환경을 누리기 위하여, 공생을 위한 우리의 끊임없는 노력과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참고문헌박순직 외, 2015, 재배식물육종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p 135-153 171-194, 381-387류수노 외, 2015, 재배학원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p 9, 28-30문원 외, 2015, 재배식물생리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p 105-127보건복지부, 2014년, 2014보건복지통계연보(60호)고관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15년, 2014 주요연구성과김성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년, 세계농업 166호(세계마늘산업동향)고관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15년, 2014 주요연구성과참고사이트 Hyperlink "http://kosis.kr" http://kosis.kr 국가5 -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0.10.2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식용작물학2 A형) 콩과 벼를 같은 면적에 재배할 때 벼에 비해 콩의 수량이 적은 이유와 재배생리적인 특성을 설명
    (일장)에 따라 영향을 받는데 그 정도에 따라 품종들의 반응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Ⅳ. 참고문헌 류수노, 식용작물학 Ⅱ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7. 정황근, 콩-농업기술길16. ... 이 20%정도로서 수확이 가능하다. 3. 콩의 재배 생리적 특성 콩은 환경에 특별히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나 잘 자랄 수 있는 식물로, 인류의 역사와 함께 오랫동안 재배되어 왔 ... 하고 가을에 추수하는 농사환경이 정착되어 있다. 콩과 식물은 개화가 되고 어린 꼬투리가 생기는 때에 이러한 병해충 관리에 특히 신경을 써야한다. 이러한 콩과식물재배생리적인
    리포트 | 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3.02.08
  • 출석대체 농학3 해충방제학 외래 돌발해충에 대해 정의하고 외래 돌발해충 5종을 선정하여 발생현황 발생원인 및 방제관리 방법
    방송통신대학교해충방제학24년 1학기출석대체과제개설학과농학과교과목명해충방제학개설학년3학습범위교재 : 2 ~ 3장멀티미디어강의 : 1, 4. 6 ~ 9강해충방제학외래·돌발해충에 대해 ... . 결론4. 출처 및 참고문헌1. 서론[그림1 : 메뚜기 - 한국방송통신대학교]곤충은 절지동물문의 하위 범주의 하나이며 마디로 된 몸이 머리·가슴·배로 구분되며 세 쌍의 다리와 한 ... - 한국방송통신대학교]곤충의 기본적인 분류와 그 특징으로 기본 정보를 파악해야 효과적으로 해충 방제를 할 수 있으므로 이같은 분류는 매우 중요하다. 그중 국외에서 유입된 해충들을 외래
    방송통신대 | 8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4.04.20
  • 생물과학
    2020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온라인평가)?교과목명:생물과학?학번:?성명:?연락처:?평가유형:과제물?과제물유형:공통형?과제명:1. 최근까지 생명과학이 이룩한 성과의 의의를 설명하라. (A4 5매 내외)2. 오늘날의 우리 나라 농업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하라. (A4 5매 내외)[1번 문항 목차]Ⅰ. 서론 ? 생명과학의 발전Ⅱ. 본론 ? 생명과학의 분야별 성과 및 의의1) 세포학과 미생물학2) 유전학과 분자생물학3) 식물생리학과 동물생리학4) 생태학Ⅲ. 결론 ? 생명과학의 과제와 전망Ⅳ. 참고문헌1. 3정 생물과학, 박순직 외 2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2. 생물과학 워크북, 한상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제3장3. 고등학교 교과서 생명과학 2018, 오현선, 미래엔4. 생명과학의 미래 변화와 대응 방안, 안두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2번 문항 목차]Ⅰ. 서론 - 우리나라 농업의 역할 및 중요성Ⅱ. 본론 - 우리나라 농업의 문제점과 그 사례1) 도시와의 현격한 생활 격차와 그에 따른 인구 감소, 고령화2) 재배 작물의 편중화3) 세계화에 따른 문제점4) 기타 문제점Ⅲ. 결론 ? 우리나라 농업이 나아갈 길Ⅳ. 참고문헌1. 21c 농업·농촌의 비전과 발전전략 2001, 이정환 외 13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2. https://www.nongmin.com/opinion/OPP/SWE/TME/322542/view(샤인머스캣)3. https://www.nongmin.com/news/NEWS/ECO/CMS/312529/view4. 2020 농업전망 자료5.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297(e-나라지표)6.https://blog.naver.com/ksg2028/222108332841(자급률 수치)7.https://cnews.fntimes.com/html/view.php?ud=20*************745b967494985_18(폭우피해)8.https://blo행되었다. 이로 인해 수술 중 세균에 의해 감염되거나 상처 부위의 감염에 의해 사망하는 사고가 많았다. 그러나 탄저균, 결핵균 등 세균이 전염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는 것이 밝혀져서 소독과 멸균 등에 대한 방법이 개발되어 수술실에 적용됨으로써 이로 인한 사망률을 크게 저하시켰다. 이 외에도 각종 전염병의 원인과 감염경로를 밝히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었고, 전염병을 예방할 백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전염병균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항생 물질이 발견되어 세균성 전염병으로 고통받는 인류를 구제할 수 있게 되었다.19세기 말에는 담배모자이크 병에 걸린 식물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발견되었고, 바이러스의 결정을 얻으며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후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가 현미경을 통해 관찰되었고, 바이러스의 구조적 특징과 작용 기작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천연두 등이 바이러스로 발생하는 병이라는 것이 밝혀졌고, 이러한 질병의 치료제 및 백신을 개발하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또한 최근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도 이러한 바이러스성 감염병으로 전세계적으로 인류를 괴롭히고 있는 이 질병의 치료제와 백신의 개발을 위한 노력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이처럼 세포학 발전으로 생명체의 기본 구조인 세포를 규명하고, 그 주기를 밝혀 질병 치료의 길을 열었다. 또한 미생물학의 발전으로 인류 질병의 원인을 밝혀내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를 알아내는 성과를 이루게 되었다.2) 유전학과 분자생물학수많은 생명과학 분야가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며 성과를 이루어냈지만, 그 중에서 가장 큰 관심을 받는 것이 질병치료와 노화,발생 등 다양한 생명현상을 분자적 수준에서 탐구할 수 있는 분자생물학과 그와 관련된 유전학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들의 발전은 멘델의 실험이 있으면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수도원에 완두를 교배한 후 그 표현형을 관찰하고 몇 가지 유전적으로 중요한 사실을 발견품종의 개발이나 저개발국가의 국민들이 특정 영양소가 결핍되어 관련 질병에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개량한 작물을 개발하는 등의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3) 식물생리학과 동물생리학오늘날의 농학은 생명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발달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특히 생명과학의 분과 중 식물생리학은 작물을 다루는 기초를 제공하였다. 식물이 제대로 성장하고 생식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환경 조건이 필요한데 식물의 종류에 따라 빛, 온도, 수분, 양분 등의 조건이 달라진다. 빛은 광합성을 위해 필수적인 조건이 되며, 식물마다 견딜 수 있는 온도의 조건도 모두 다르다. 각 식물이 최적으로 생각하는 온도 범위에 따라 재배적지가 결정되었다. 또한 극단적인 온도 조건에서도 자랄 수 있는 식물을 발견하거나 온도에 내성을 가진 작물을 개발하여 국토의 다양한 곳에서 재배함으로써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되었다. 식물이 요하는 수분의 조건도 다양한데, 각 식물별 특징을 이용하여 척박한 환경에서도 재배할 수 있는 작물을 발견하게 되었다.한편 식물호르몬은 식물의 환경과 유전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물질로 옥신, 지베렐린, 시토키닌, 에틸렌 등이 있다. 옥신은 줄기의 신장생장, 잎의 엽면생장, 열매(과일)의 부피생장, 뿌리의 부정근 발생 등을 일으키며, 일정 범위 안에서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장을 촉진시키며, 줄기에서 끝눈의 생장을 촉진하고 곁눈의 생장을 억제하여 정단우성을 일으킨다. 이러한 옥신의 작용을 확인함으로써 작물을 길이 생장시키거나 정단 우성을 요할 때, 인위적으로 처리하여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지베렐린의 경우는 줄기 생장을 촉진하고, 보리 종자 등에서 발아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성질을 활용하여 보리 종자의 발아를 촉진할 경우 저온처리를 하거나 지베렐린을 처리한다. 에틸렌은 노화촉진 호르몬으로 잎과 과일의 탈리에 작용하며, 과일의 후숙을 빠르게 하는데, 농장에서는 완전히 익기 전에 과일을 수확하여 과실을 유통시키렇게 생명과학 분야에 많은 투자를 해오고 있다는 것은 생명과학으로 해결해야 할 다양한 문제가 오늘날에 그리고 미래에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최근까지 생명과학이 이룩한 성과에 더하여 앞으로 이것이 더 해결해야 할 과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먼저 식량 안보와 관련된 문제이다. 식량 안보란 국민들이 원하는 때, 원하는 만큼의 양의 식량을 공급해 줄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기대 수명은 늘어나고 개발도상국가 등에서 인구는 증가하여 UN에 따르면 2100년에는 전 세계 인구가 110억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인구의 폭발적 증가는 식량 공급의 문제를 야기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식량 부족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대량으로 식량을 생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데, 이를 해결해 줄 수 있는 것이 생명과학이다. 유전적 변이를 이용해 다수확 품종을 개발해 내거나 척박한 환경에서도 자랄 수 있는 품종들을 개발하여 단위면적 당 보다 많은 식량을 어디서든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재배 과정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추는데도 생명과학이 도움이 되어야 한다. 각 온도, 습도별 피해 가능 해충을 예측하고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며, 가뭄에 대한 저항성이 크거나 홍수의 피해를 덜 입을 수 있는 품종을 육종해야 한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 등으로 식량 안보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언제나 식물이 정상적으로 자랄 수 있는 식물 공장을 설립하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두 번째는 자연생태계의 보존이다. 지나친 도시화와 화학연료의 무분별한 사용, 삼림개간 그리고 환경호르몬 등으로 인해 자연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많은 종들이 사라졌으며, 지금도 멸종 위기에 처한 생물이 많다. 동식물이 멸종하고, 생명에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은 곧 인간에게도 이러한 위협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과 같다. 건강하지 못한 생태계에서는 최상위포식자 중 하나인 인간도 살아남을 수 없다. 이렇듯 멸종 위기에 놓은 생명을. 이러한 예에 덧붙여 최근에는 바이오에너지 공급원으로서 농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데, 사탕수수 등의 재배·공급이 그것이다. 뿐만 아니라 공업화와 개발의 만연으로 인한 국토의 황폐화를 막고, 국토를 균형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농업·농촌의 유지는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농업이 유지됨으로써 농촌의 자연공간을 더욱 아름답고 가치 있는 것이 되도록 한다. 해외에서는 이러한 농업의 자연공간 보존 기능을 활용하여 관광과 휴양지를 개발하는 등 환경친화적인 사업을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개척하고 있다. 이렇듯 농업은 산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지역사회를 유지하고 전통문화를 계승할 수 있는 바탕이 되고 있다.우리는 식생활과 관련되고 직접 소비함으로써 얻는 농업의 식량 공급의 기능에 대해서만 인지하고 있지, 그 외 기타 환경보전, 생태계보전 등의 외부적 효과를 간과하게 된다. 이는 직접 비용을 치르고서 얻는 경제적 활동의 산물이 아니라 농업을 유지함으로써 얻는 부차적인 이득이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농업과 농촌은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유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의 농업은 어떠한 문제점을 지니는지, 그것을 타개할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기로 하자.Ⅱ. 본론 ? 우리나라 농업의 문제점과 그 사례1) 도시와의 현격한 생활 격차와 그에 따른 인구 감소, 고령화우리나라 농촌을 떠올리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이 허리가 구부정한 할머니가 밭을 일구는 모습, 나이가 지긋한 어르신들이 경운기를 타고 논두렁을 달리는 모습이 아닐까 생각된다. 우리 농촌은 늙었다. 점차 고령화되어 가고 있다. 2020년 농업전망 자료에 따르면 2019년 농가 인구는 전년보다 1.6% 감소한 228만명으로 추정되며, 2019년 65세 이상 농가 인구 비율은 45.5%로 전망된다. 이러한 농촌의 노령화는 근본적으로 도시와는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생활 환경의 차이에 근원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수가 현격히 줄어든 것은 임금, .
    방송통신대 | 11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02.15
  • 방송대, 농학과 원예작물학 3학년1학기 과제, 채소종자
    로 농업이 지속된 것도 있을 것이다.Ⅳ. 참고문헌최은영 외 『원예작물학 Ⅰ-채소』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PAGE \* MERGEFORMAT2 | 페이지 ... 하거나, 재배나 이용상의 유사성 기준으로 분류하는 원예적 분류, 식물의 유연관계로 분류하는 식물학적 분류방법이 있다.채소의 식물학적 분류에서는 크게 단자엽식물과 쌍자엽식물로 나누 ... , 쌍자엽식물 중 상추와 토마토의 종자구조와 종자 발아의 생리적 기작, 발아 환경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Ⅱ. 본론1. 채소종자의 구성요소채소의 종자는 종피(種皮, seed coat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3.07.0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채소재배 현장을 방문하거나 참고도서(문헌)를 참고하여 채소 작물 1개를 선택하여 1) 재식 간격 2) 육묘 소요일수, 3) 품종, 4) 재배 기술, 5) 생리장해, 6) 정식 후 수확 기까지 소요되는 일수, 7) 기대소득을 작성하라.
    일수3.품종4.재배기술5.생리장애6.정식 후 수확까지 소요되는 일수7.기대소득Ⅲ.결론[참고문헌]- 원예작물학I / 최은영 외 / 2020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우너- 채소학 ... ) 육묘 소요일수, 3) 품종, 4) 재배 기술, 5) 생리장해, 6) 정식 후 수확 기까지 소요되는 일수, 7) 기대소득을 작성하라. (30점)Ⅰ.서론Ⅱ본론1.채식간격2.육묘 소요 ... 형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채소재배 현장을 방문하거나 참고도서(문헌)를 참고하여 채소 작물 1개를 선택하여 1) 재식 간격 2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4.06.13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환경친화형농업 시설재배토양의 특성과 친환경적 관리방안을 설명하시오
    환경친화형농업 시설재배토양의 특성과 친환경적 관리방안을 설명하시오. (30점) - 목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시설재배토양의 특성 2. 친환경적 관리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친환경농업은 합성농약, 화학비료 및 항생, 항균제 등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사용을 최소화하고 농업, 축산업, 임업 부산물의 재활용 등을 통해서 농업생태계와 환경을 유지 및 보전하면서 안전한 농, 축, 임산물을 생산하는 농업을 말한다. 친환경 농산물: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생산한 농산물이다. 친환경농업기술:친환경농업을 실천하는데 이용되고 있는 농업이나 이론 또는 자재의 생산방법등이 있다. 즉 농업과 환경의 조화로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을 유도함에 있어서 농가소득을 증대는 물론 환경을 보전하면서 농산물의 안전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농업이라고 할 수있다. 그래서 앞으로 넓은 의미에서 환경친화형 농업이 확대되게 하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 까?에 대한 질문에 당장 친환경인증제에서 규정하듯 농민이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을 전면중단 혹은 기준치 이하로 감축하지는 못해도, 점차 농약 및 화학비료 등 외부투입재 사용을 줄일 수 있게 만드는 방안이 절실해 보여진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국가 주도 친환경인증제와 별개로 지자체, 생협 및 기타 공동체 차원의 자주인증제도 확대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2.본론 시설재배토양의 개념 토양이란? 오늘날 식물의 생육에 있어서 토양은 대단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식물체를 물리적으로 지지해주고 유기물을 비롯한 각종 물질을 분해시켜 식물의 생육을 돕는 아주 큰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생육이 활발한 토양은 영양공급이 풍부해 통기성은 물론이고 배수성, 보습성이 양호하다고 한다. 또한 물리화학적인 성질 및 생물학적 성질 또한 양호하다고 한다. 따라서 좋은 토양은 말 그대로 병해충이 없고 깨끗해야 하며, 잡초 씨앗이 없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래서 가볍고 운반이 편리해야 하며, 천연 미네랄이 풍부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토양의 좋고 나쁨 등 지력조건을 토양 비옥도라고 한다. 여기서 지력이 좋다는 말은 토양에 식물생육에 필요한 유기질 등 각종 성분이 풍부하다는 것을 말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좋은 토양은 미생물의 도움을 받아 분해과정을 거친 흙이라고 칭한다. 좋은 나무를 키우기 위해서는 토양이 비옥한 경작지나 경사가 완만하고 비교적 습윤한 동북향의 토양이 유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사가 완만하면 표토의 침식이 더디고, 습윤하면 유기물의 부식이 빨라 기름지기 때문이다. 비옥한 토양에서 자란 나무는 병해의 피해도 없을 뿐 아니라 가지도 간결하고 잎눈과 꽃눈도 충실해진다. 시설재배토양의 특성 염류집적 이는 흙 속의 농도가 더욱 높아서 뿌리가 물을 흡수하지 못해 말라죽는 현상을 뜻한다. 염유집적의 직접적인 주요 원인은 화학 비료의 과잉 사용과 단작 중심의 농사, 그리고 비닐하우스 재배에서 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양분불균형 양분은 영양이 되는 성분을 뜻한다. 오늘날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식물체의 잎과 줄기의 표면에서 수분 증산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원활한 양분의 흡수가 이루어지는데 토양의 염류가 많아서 불균형을 이룰 때는 작물의 원형질이 음성으로 대전되어 있기 때문에 각 양이온이 작물 뿌리표면에 흡착되어 다른 양이온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식물체 이온 균형이 깨지게 되면서 양분불균형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토양전염성 병해충 발생증가 시설재배토양에서 원활한 미생물의 작용이 일어나지 못하게 되면 토양환경이 악화되는 것은 물론이고, 생육저해물질이 집적되어 토양전염성 병균 발생이 증가한다. 이러한 시설토양의 경우 이용햇수가 길어질수록 토양 환경이 악화되기 때문에 병충해의 발생이 늘어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병해충 피해를 줄이기 위해여 농약을 과다하게 사용하거나 하면 오히려 다른 피해가 급증하게 되므로 작물의 재배 기간 중에는 완전한 방제를 하는 대신 해충의 밀도를 최소한으로 낮추어 피해를 줄이는 수준으로 토양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친환경적 관리방안을 작성하시오. 오늘날 우리나라의 토양은 토질이 매우 천박하고 산성이 강하다고 한다. 이는 우리나라의 토양이 화강암 또는 화강편마암 계통의 암석에서 오랫동안 풍화되며, 많은 비에 의한 용탈과 토양 생성과정을 거쳐 왔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오늘날 토양의 질 악화의 원인에는 첫 번째로 잘못된 토양 관리에 의한 인위적 요인이 가장 크다고 생각한다. 토양의 질 중에서 농민들의 관심이 가장 많은 것이 바로 토양의 산성화와 양분의 불균형이기 때문이다. 토양을 산성화시키는 요인에는 비료의 부적절한 사용과 산성 폐수의 유입이나 산성비의 영향을 들 수 있다고 한다. 전자는 우리 농업 내부에서 발생하는 요인이자 후자는 농업외부에서 오는 환경오염의 영향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친환경적 관리방안을 작성해보겠다. 흡비작물 재배 시설작물을 재배하는 휴한기에는 옥수수, 수수, 호밀과 같이 흡인력이 강한 식물재배하게 되면 염류재배의 효과가 있다고 한다. 옥수수의 경우에는 재배 후 토양의 칼륨이 28%, 칼슘이 37%, 마그네슘이 31%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흡비작물과 시설작물을 주기적으로 윤작함으로써 유기물 공급원을 나주고 토양 염류를 낮추어 토양 내 염류집적을 막는 효과가 있다. 적절한 윤작과 흡비작물 재배는 시설재배 토양의 문제점인 토양 염류 집적문제를 친환경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물리성 개선 시설원예 재배에 있어 증산량이 많기 때문에 잦은 관수를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되는데 이러한 관수는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을 변화시키는 영향을 미친다. 잦은 관수, 사람과 기계의 이동으로 인하여 토양이 다져지게 되면 토양공극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뿌리발달을 저해하는 영향을 준다. 이러한 토양 물리성을 개선하는 방법에는 심토반전, 심토파쇄가 있다. 토양을 깊게 파서 심토를 표토로 올려주고 표토를 심토로 묻어주는 작업을 통해 뭉친 토양을 부숴주고 표토의 영양염류를 심토로 옮겨주어 물리성과 화학성을 개선하는 영향을 갖는다 시설 토양을 물리적으로 갈아 엎어줌으로써 물리성 개선에 효과가 있고 화학성 변화도 기대할 수 있어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포장 위치에 따라 양분 불균형이 일어날 수 있고 경비가 많이 소요되는 방법이다. 끝으로 시설재배의 경우 일반 밭보다 매우 염류집적이 발생하기 쉽기 ??문에 누적된 양분으로 인해 산성화 되어 미생물의 활성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염류집적과 양분불균형 문제를 해결하여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이기 위함으로 관수를 통해서 제염하거나 흡비작물을 윤작해 객토와 환토 등의 방법으로서 염류를 제거하는 방법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이처럼 합리적인 시설 토양관리는 합리적인 물 관리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자연환경을 지속적으로 건전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가장 기본적인 일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시설 토양은 노지 토양과 다르게 시설마다 각기 다른 관리 방법에 따라서 토양환경도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시설재배에서 토양에 의해 나타나는 생리장해는 시설하우스마다 토양 특성 변화를 이해하면 발생 원인도 밝혀낼 수 있으며 대책 수립도 가능케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시설토양의 가장 큰 특징은 물의 흐름이 노지와 다르기 때문에 염류가 직접적으로 시설 하우스 마다 관리 방법에 따라서 심한 불균형을 이루게 되면서 특정 양분의 과부족으로 작물생육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각 시설 재배에서 합리적으로 토양이 잘 관리된다면 염류집적의 상당 부분이 예방될 수 있으며 생리장해 발생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Ⅳ. 참고문헌 류수노 외, 『환경친화형농업』,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4,400원 | 등록일 2023.02.01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재배학원론 과제
    2021 학년도 2 학기 중간과제물(온라인제출용)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이하 과제 작성토양반응과 작물생육과의 관계를 조사ㆍ설명하시오. (토양 pH와 작물양분, 토양반응에 대한 작물의 적응성)11포인트, 180퍼센트목차Ⅰ. 서론Ⅱ. 본론1. 토양반응(pH) 개량1) 토양반응과 작물생육2) 산성토양의 개량3) 토양 pH를 낮추는 방법2. 양이온치환용량(CEC)과 염기포화도1) 양이온치환용량(CEC)2) 염기포화도Ⅲ. 결론출처 : 류수노, 권순옥, 『재배학원론』, 2021,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출처 : ‘귀농인을 위한 기본적인 토양관리’Ⅰ. 서론토양 중 작물양분의 유효도는 pH에 따라서 크게 다르며 중성 내지 약한 산성에서 가장 높다.작물생육에 없어서는 않되는 원소를 필수원소라 하는데 필수원소는 작물의 요구량에 따라서 다량원소와 미량원소로 나눈다. 다량원소는 탄소(C), 수소(N), 인(P), 칼리(K), 칼슘(Ca), 마그네슘(Mg), 황(S)의 9원소이며, 미량원소는 철(Fe), 망간(Mn), 구리(Ca), 아연(Zn), 붕소(B), 몰리브덴(Mo), 염소(Cl)의 7원소로 알려져 있다. 필수원소 중에서 탄소, 수소, 산소는 물과 공기로부터 공급되고 나머지는 토양으로부터 뿌리를 통하여 흡수 이용된다.일반적인 토양에서는 대부분의 필수원소가 충분한 양이 저장되어 있어서 작물생육에 지장을 주지 않지만 질소, 인산 및 칼리 성분은 토양중의 함량으로는 부족하므로 사람이 공급해 주게 되는데 이를 우리는 비료라고 한다. 토양의 화학적 성질은 토양양분의 저장력에 관계하는 토양반응(pH) 및 토양양분간의 상호작용 등으로 구분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Ⅱ. 본론1. 토양반응(pH) 개량1) 토양반응과 작물생육토양의 화학적 성질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토양의 반응이다. 토양의 산성 혹은 알칼리성의 정도를 토양의 반응이라 한다. 토양의 반응은 토양 중에 존재하는 각종 양분의 유효도, 유해물질의 용해도, 식물뿌리와 미생물 체내의 생리화학반응 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토양의 화학적 성질이다. 작물재배에 적당한 토양 pH에서 생육이 양호하다.토양이 산성화되면 칼슘, 인산 등의 양분유효도가 낮아지고 유용미생물의 활성이 저하되며, 알루미늄 등 중금속의 용해도가 증가되어 작물생육이 피해를 입기 쉽다. 또한 강산성이 되면 망간이 과잉 흡수되어 망간과잉장해가 발생한다. 산성토양에서는 시용한 비료의 효과가 떨어진다. 3요소비료 중에서 인산이 가장 큭 영향을 받는 성분으로 pH7.0에서 6.0으로 낮아지면 인산질 비료의 휴효도는 48%나 감소된다.토양의 pH가 중성보다 높아져도 식물의 생육에는 이롭지 못하다. 강우량이 낮은 지역에서 염류의 집적으로 토양의 pH가 높아지며 석회의 집적이 많으면 pH는 8.5까지 올라간다. 대개의 식물은 토양의 pH가 9이상으로 되면 생장이 멈추거나 죽게 된다. 알카리성 pH로 되면 미량원소의 용해도가 떨어지게 되며 특히 철, 망간, 아연, 구리 등이 결핍되기 쉽다. 그러나 몰리브덴은 다른 미량원소와는 달리 오히려 낮은 pH에서 유효도가 떨어진다.토양이 너무 산성화되거나 알칼리성이 되면 양분의 불용화로 인한 결핍 또는 양분의 과잉 용출로 인한 독성으로 여러 가지 생리장애를 나타낼 수 있다.토양의 pH는 1.0이차이가 나면 H+ 이온이 10배가 적고 2.0이 차이가 나면 100배, 3.0이 차이가 나면 1,000배가 적은 것이다.2) 산성토양의 개량산성토양을 개량하는 방법을 직접적인 방법과 간접적인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직접적인 방법은 석회를 주는 방법이고, 간적적인 방법은 양질의 유기물을 공급하여 토양의 완충 능력을 증대하고 미량요소를 공급하며, 인산의 고정을 예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내산성 식물재배하는 것이다.산성토양 교정을 위한 석회소요량은 ORD간이검정법에 의하여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다. 석회시용 방법은 파종 15일전 토양전면에 고르게 살포한 후 경운하여 토양과 잘 혼합해 준다.산성토양 교정을 위한 석회물질로서는 소석회, 탄산석회 등의 농용석회가 주가 되며 최근에는 고토석회도 많이 쓰인다.석회를 주면 부분적으로 pH8까지 올라간다. 이때 암모니아태 질소성분이 있으면 암모니아질소의 휘산이 일어난다. 또한 석회와 인산질 성분이 직접 닿으면 인산이 불용성의 인산석회로 되어 인산고정이 일어난다. 따라서 석회를 미리 주어 산도를 교정한 후에 비료를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 토양 pH를 낮추는 방법높은 pH(7.5이상)를 적정 수준으로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는 황가루에 의한 중화법이 있다. 토양 pH를 1단위 낮추는데 필요한 황가루의 시용량은 토양의 완충능력에 따라서 다르므로 한가지로 말 할 수는 없지만 일례를 들면, 토양 pH7.5에서 6.5로 pH 1단위를 낮추는데 필요한 황소요량은 300평당 점질성인 식양토의 경우에는 약 130kg, 모래기가 많은 사질토의 경우에는 약 40kg정도이다.황가루를 처리할 때에는 적어도 아주심기 1개월 전에 하여야 하며, 토양 전층에 고르게 뿌려주고 토심 20cm깊이에까지 혼합되도록 심경과 로타리를 충분히 하여야 한다. 일시에 과다한 시용은 자칫 지나친 토양 pH 감소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한번에 10a당 150kg이 넘지 않도록 한다. 특히 과수재배 시에는 재식 구덩이에 처리하여야 한다.(2) 양이온치환용량(CEC)과 염기포화도1) 양이온치환용량(CEC)토양이 양이온을 흡착할 수 있는 능력을 양이온 치환용량(CEC)이라하고, 토양 1,000g이 흡착할 수 있는 양이온의 총량을 센티그램당량(cmol)으로 나타낸다. 양이온치환용량은 토양의 비료성분 보유능력을 말하는 것으로서 토양에 공급된 비료성분들이 빗물에 씻겨 나가지 않고 작물에 이용될 수 있도록 흡착 보존하면서 작물에 양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작용은 토양의 가는 입자인 점토와 유기물이 썩어서 생성된 부식의 표면에 생기는 전기적 힘에 의하여 일어난다. 유기물의 양이온 치환용량은 매우 높으며, 점토입자의 양이온 교환용량은 점토광물의 종류에 따라 그 값이 매우 다르다. 따라서 양이온 치환용량은 점토의 함량이나 점토광물의 종류 및 유기물의 함량에 따라 다르다. 우리나라의 토양에는 유기물함량이 적을 뿐 아니라 카올리나이트가 점토광물의 주가 되므로, 양이온 치환용량은 매우 낮은 편이어서 평균 10cmol/kg 정도이다. 양이온치환용량이 높은 토양은 비료를 어느 정도 많이 시용하여도 과비 현상이 적으나 염기치환용량이 낮은 토양은 조금만 과비하여도 작물이 농도장해를 일으키기 쉽다.
    방송통신대 | 4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11.09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3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