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돕기 위해 전시해설을 녹음한 콘텐츠이다. 코로나 19 이전에는 큐레이터나 에듀케이터, 자원봉사자 등 실제 도슨트가 직접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전시해설을 서비스하였다. 하지만 모든 ... 등이 이것에 포함된다. (2) 온라인 전시 (1)의 오프라인 전시의 개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시는 작품과 공간, 관람객, 기획자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온라인 전시 ... 이 가 살펴보았듯 기존의 온라인 콘텐츠는 오프라인 콘텐츠의 보조적 역할이자 홍보를 위한 수단에 불과했었다. 하지만 코로나 19 이후 더 이상 온라인 콘텐츠는 보조 수단이 아니라 박물관
의 정보공유공간을 통해 현직 박물관의 에듀케이터, 큐레이터들과 예비 전문가들을 위한 자료와 회의, 심포지움의 정보 및 연구동향을 제공한다.2. 박물관 e-Learning의 설계 상 ... 에서의 e-Learning 사례미국의 Smithsonian 역사박물관, 미국 국립현대미술관, 게티미술관, 영국의 대영박물관, 영국 국립 문서보관소, 캐나다의 캐나다 버츄얼 뮤지엄, 캐나다 ... 할 수 있다. 캐나다 버츄얼 뮤지엄은 온라인 전시로 Exhibition 메뉴를 제공하고 있으며 소장품의 이미지와 관련 설명, 사용되는 환경과 방법 등을 동영상으로 제시하여 실제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