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일정한 유형(cultural pattern)을 형성하기 마련이다. 문화에 대한 이해는 곧 문화적 현상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그러한 유형을 찾아내는 작업이 될 것이다.3. 내 ... 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문화를 종합적으로 정의하였다(이종각, 1995 재인용).문화는 행동의 행동을 위한 잠재적 및 현재적 유형으로서 이 행동 유형은 행동의 유형인 동시에 행동 ... 을 위한 유형이기도 하며 그 유형은 잠재적으로도 현재적으로도 존재한다. 행동유형은 상징에 의하여 획득 전달된다. 상징은 한 인간 집단의 특이한 업적을 구성하고 있으며 문화 내
, 관습 등과 같은 수많은 구성요소들의 복합적 전체(Tylor).문화 요소들은 상호 긴밀하게 연관됨. 또한 문화요소들은 일정한 유형(cultural pattern) 형성.④ 문화존재 ... 의 비계[생물학적 특성(상징의 사용 능력, 고등사고 능력, 두 손과 연장 사용능력, 가소성)을 기초로 자연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창조되고 공유된 것; 생물학적 특성이 문화에 의해서 ... 하는 초개인적인 것.⑥ 문화의 가변성: 발명에 의한 내부적 혁신과 외래문화의 영향에 의한 기존 문화의 변화. 문화접변(acculturation: cultural trans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