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니다. 부모님께서는 지역의 작은 서점을 운영하셨고, 그곳은 자연스럽게 마을 사람들의 쉼터이자 문화의 중심이었습니다. 책을 빌려가며 서로의 근황을 나누고, 가끔은 아이들이 모여 독후감 ... 습니다. 이후 청년문화기획단에서 근무하며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생활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한 경험이 있습니다. 주민들이 스스로 공연을 기획하고, 전시를 열며, 아이들과 함께 마을을 꾸미 ... 에는 사람들과 함께 무언가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가장 큰 즐거움을 느꼈습니다. 친구들과 마을 축제를 기획해 플리마켓을 열었는데, 예상보다 참여율이 저조해 낙심하기도 했습니다. 하지
[서평] 문화장터를여는청년기획자들(자기 길을 찾는 청년들의 성장 이야기)원철 지음. 파라북스 2015년 11월 5일 발행1. 맥락책에 나오는 분들이 '롤 모델(role ... ’이다. 변화하는 환경에 맞게 변주하는 것이 제대로 된 기획이다.문화 장터의 기초가 홍대 희망시장이었다. 처음에 이 장터를 기획한 사람은 근처에 있는 홍대 미대출신의 화가들 때문이 ... 을 하면 대박의 기회라도 있지만 청년장터는 새로운 열정페이 밖에 되지 않지 않나, 하는 의구심이 든다.177쪽이다.스타트업을 하는 게 낫지 않을까. 도전을 하는 자가 새겨 들어야 할
책을 읽게 된 구체적인 동기는 솔직히 말씀드리면 이 독후감을 쓰기 위해서 책을 고르던 중 표지가 가장 맘에 들어서 읽게 되었습니다. 겉장에 바로 보이는 화살표는 왠지 이 책을 읽 ... ’라는 책을 이미 읽어서 그 책으로 독후감을 써볼까 했지만, 평소에 책을 조금 즐겨 읽는 편이라 다른 책을 읽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은 생각에 이 책을 고르게 되었습니다. 이 ... 으면 내가 가야할 길을 열어주고 또 그길 위에서의 나의 행보를 알려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아무래도 여자라서 그런지 실질적인 책의 내용보다는 책의 표지, 색깔
고 독서의 흥미를 높이기 위한 행사인 독후감상화 그리기 대회 등이 있다문화 프로그램 중에 가장 두드러지는 활동은 독서를 통한 모임이다. 사하시립 도서관에서는 이용자들끼리 많은 독서 ... 은 아니다. 특히 도서관내 작은 공원과 쉼터는 크진 않지만 가장자리에 간단히 할 수 있는 운동기구들과 농구대가 있고 테니스장도 포함하고 있어 지역주민들이 쉽게 도서관을 찾는 또 다른 ... 들을 대상으로 한 점자자료실은 이용자들이 적은 것 같아 많이 아쉬웠다. 사하시립 도서관에서 시각장애인들에게 지적탐구와 독서의욕을 고취시키고 문화생활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