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은일적 취향이 드러나고 있으며, 당대에 대한 비판적 인식에서 사회, 역사의식상의 복고성을 보이는 글들도 있다.(2) 문장천부론① 문학의 새로운 인식이인로는 재예(才譽 ... 가 갖추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험벽(險僻))한 용사는 배격했으며, 남의 문장을 본떠서 형식을 바꾸어도 새로운 뜻을 낼 수 없다고 했다. 또한 좋은 시란 표현기교가 뜻을 따라야 하 ... 면 부귀영화가 따르지만 문장이 뛰어나다고 해서 부귀영화가 따르는 것은 아니다. 높은 지위에 있다고 해서 문장이 뛰어난 것은 아니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문장은 타고난 성품에서 얻
에 오른 이는 실로 고인들이 말한 ‘양주자사로 학을 탔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니 어찌 많다고 할 수 있겠는가. )라고 한 부분이 있다.위에는 이인로는 이른바 천부론을 주장하였다. 즉 ... 으로 「파한집」에 이인로의 다음과 같은 자랑이 섞인 문장이 나온다.나의 선조는 대대로 문장으로 서로 계승되었는데 대과 급제자에게 주는 홍패가 전하는 것이 8장이나 된다 )이렇 ... 」에서 “대개 문장은 천성에서 얻어지는 것이다”라 하여 천부론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천부론적 관점은 고려시대 여러 문인들 사이에 수용되었던 일반적인 양상이었으며, 우리나라 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