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기대서서< I N D E X >1. 줄거리 / 내용 분석2. 느낀점 / 감상3. 인상깊은 구절‘1. 줄거리 / 내용 분석“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기대서 ... 의 제목이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가 되는 근본적인 이유가 아니었나 싶다. 불상과 탑 부분에서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금동반가사유상이나 목조미륵보살반가상 같은 불상을 동작 하나하나 ... 는 것이 시급하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2. 느낀점 / 감상지난번 “명화를 보는눈” 이라는 책을 통해 서양화를 접하게 되었다면 이번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를 통해 동양화
의 끝에는 추녀와 사래를 받치고 있는 육모기둥이 있었으며, 고맥이 초석이 배홀림기둥을 받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내부 사진을 찍는 것을 금지 하고 있어 밖에서 불상(소조여래 ... ) 삼층석탑 5) 범종각 6) 보장각, 박물관7) 음향각 8) 안양루 9) 석등10) 무량수전 11) 선묘각 12) 부석13) 조사당 14) 단하각 15) 자인당, 응진전16)삼층석탑Ⅲ ... 와 추녀 마루가 있는 것을 보았다. 양쪽밖의 4개의 기둥은 팔각기둥있었고 내부 기둥은 민홀림기둥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민홀림기둥위에는 초익공으로 짜여진 것이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