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적 가치를 높게 평가받고 있는 『舊滿洲檔』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滿文老檔』 과의 대조표를 발표하였다.그 대조표는 로마자로 轉寫된 『滿文老檔』의 본문과 『舊滿洲檔』의 내용 ... 을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연구자들이 『舊滿洲檔』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한 것이었다. 이 경우 『滿文老檔』 기사의 내용을 『舊滿洲檔』에서 쉽게 확인은 할 수 있 ... 지만, 『舊滿洲檔』 본래의 모습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舊滿洲檔』을 첨삭하여 정리한 것이 『滿文老檔』이기 때문에, 『滿文老檔』에 없는 내용도 『舊滿洲檔』에는 기록되어 있다. 이런 사정
필자는 『舊滿洲檔』의 사료적 가치를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舊滿洲檔』1, 2, 3 각각의 지면과 『滿文老檔』의 기사를 확인할 수 있는 대조표를 만들어 발표 ... 하였다. 이제 『舊滿洲檔』4의 지면을 『滿文老檔』의 기사와 확인할 수 있는 대조표를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남은 『舊滿洲檔』5와 『滿文老檔』의 대조표도 발표할 예정이다.근자에 臺灣의 國立 ... 가 매겨져 있다. 이 쪽수는 『舊滿洲檔』의 쪽수와 일치한다. 아마도 『舊滿洲檔』의 출판을 위하여 촬영 시에 매긴 것으로 보인다. 『滿文原檔』의 지면과 『滿文老檔』의 기사를 확인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