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나에게 굉장히 인상 깊어 몇 번을 다시 보았고 글쓰기 기초 감상문 과제를 받고 나서 맨 처음에 떠 오른 영화였다.이 영화의 주인공은 아빠 귀도(로베트로 베니니), 엄마 도라 ... 암울하게 그려냈다. 하지만 인생은 아름다워는 다르다.이탈리아가 낳은 세계적인 감독이자 이 영화의 주인공인 로베르토 베니니가 귀도와 조슈아를 통하여 수용소 안에서의 끔찍한 일을 풍자 ... 을 금치 못 했다.이 영화는 1940년 멕시코에서 러시아의 혁명가 레온 트로츠키가 암살당하기 직전에 남긴 글 “그래도 인생은 아름답다”에서 영화의 모티브를 얻은 로베르토 베니니
지만 귀도는 그 이후로 보이지 않았다. 순간 내가 느꼈던 당혹감 이란. 하지만 로베트로 베니니라는 감독이 보여주고 싶었던 삶에 대한 시선을 그랬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죽음을 너무나 ... 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로베르토 베니니는 그 누구보다 충실하게 휴머니즘을 지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그가 각본, 연출에 주연까지 도맡았던 이 영화는 깐느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