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동문송별도(東門送別圖)〉의 회화적 특징과 제작 과정, 그리고 그 정치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동문송별 ... 을 넘어 이소(二疏) 고사를 환기하여 유창의 염퇴(恬退) 정신을 부각하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특히 필자는 〈동문송별도〉의 제작 과정에 주목하여 당시 예조판서였던 남용익(南龍翼 ... 된 구체적인 시기를 추적하였으며, 유창의 아들 유득일(兪得一, 1650-1712)이 발문(跋文)의 글을 재배치하여 작성하였음을 밝혔다.나아가 본 연구에서 필자는 〈동문송별도〉가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