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부여에서는 가계(家系)를 중요시하여 형이 죽으면 형수를 아내로 맞이하고, 동옥저에서는 민며느리의 혼습이 있었다.삼국 시대에 들어오면, 고구려 시대에는 모계 중심 사회의 풍습 ... , 신라나 고구려에서보다 일찍 혼속이 정립된 듯하다.삼국통일 이후 고려 초기에서도 계급적 내혼제가 그대로 답습되고 근친혼이 성행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원나라의 세조(世祖)가 왕가 ... 의 동성혼(同姓婚)은 성지에 위배되므로 앞으로 위반하면 논죄하겠다고 경고함에 따라, 충선왕(1310년)이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종친과 양반의 동성 금혼(同姓禁婚)을 국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