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포드 기어츠, 김형준 역, 2012농업의 내향적 정교화 , 일조각제1부 이론적이고 사실에 기반한 출발점제1장 인류학 내의 생태적 접근생물학에 기반을 둔 생태학(유기체와 환경 ... 를농업의 내향적 정교화’라고 명명할 수 있다.알렉산더 골든와이저는 ‘내향적 정교화’ 개념을 ‘완성된 형처럼 보이는 상태에 도달한 후 안정되거나 새로운 유형으로 변형되지 못한 채 내 ... 경작은 점차 확산되어 농민경제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벼 단작에서 작물 경작 종류의 다양화로의 변화를 의미하였다. 그 결과 농업혁명은 일어나지 않았고 내향적 정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