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론300년권력의비밀독후감역사학과 52120000이 책은 ‘식민사관이 건재한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가지고 시작한다. 왜 일제 강점기가 끝났음에도 식민사관을 끝나 ... 로 이어져 오늘날 까지 왔다고 보고 있다. 그냥 이어져 온 것만이 아니라 단 한 번도 해체 과정을 밟지 않은 채 학문의 권력을 틀어쥐고 그 권력을 행사하고 있다.1부 노론사관 식민 ... 지 못한 채, 한국 사학계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일까? 필자는 이에 대한 답을 주자학을 유일사상으로 보는 닫힌 세계관이 노론에서부터 출발하여 일제강점기 식민주의 학문체제
팩트(fact)와 정설(正說)의 사이에서...- 노론300년권력의비밀을 읽고 나서-우리는 역사에 있어 ‘정설’ 이라는 것을 중요시 여긴다. 여러 가지 설들이 많을 수 있 ... 검토와 비판을 통해 나온 산물인가를 따져봐야 할 것이다. 노론300년권력의비밀은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에 소속된 이주한의 글이다.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는 아직도 일제 식민사학 ... 요, 사상이자 이데올로기이다. 필자는 우리 사회는 불행히도 이런 노론사관의 맹목적인 추종자들이 학문의 권력을 쥐고 있다고 보고 있다. 300년 전 노론사관은 100년 전 일제강점기를 거치
‘노론300년권력의비밀’을 읽고나는 처음엔 이 책이 당쟁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책인 줄 알았다. 하지만 이 책은 단순한 역사책이 아닌, 역사관과 여러 학자들, 그리고 ... 사관을 가지고 있는 학자들은 그들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자신들이 차지하고 있는 지위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그들의 뿌리인 노론사관과 식민사관을 옹호하려고 하다 보니 자꾸 한 쪽 ... 우리나라 역사학계의 현실 등을 다루고 있었다. 노론사관과 식민사관의 역사왜곡에서 시작하여 한국 주류 역사학계의 모순적인 연구 풍토를 다루고 있고, 특히 사도세자의 죽음과 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