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우선, 어떤 언어에서는 남자만 쓰는 어형과 여자만 쓰는 어형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것은 음운에서도 나타난다. 표준어 사용에 있어서도 대체로 여자들은 표준어 지향적인 반면 ... 은 어휘큼하다모성애, 여자답다, 질투, 히스테리,토라지다, 앙큼하다인간애, 기품, 성실하다, 음흉하다행동 묘사어기사도, 외조, 용감하다, 박력있다내훈, 내조, 교태, 추파, 정숙 ... 에 따른 어휘 사용의 차이를 보인다.남녀 발화시의 어휘량에 대해서는 임칠성 외(1997:148,157-8)에서 80년대말 KBS에서 방영한 '일출'이란 드라마 대본을 분석하여 1
은 중세국어의 문법요소이다. 이는 한글이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한 15세기 중세국어에 있어서 이미 그 역할이 소멸해가는 과정 중에 있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오/우-’의 이런 불 ... -오/우-’, 즉 동일한 시기에 사용된 같은 어형을 그것이 놓여지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구분하여 파악하는 이원적인 태도를 선뜻 인정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당대의 언어 상황 ... :13)c. 妾은 드로리 君臣이 서르 保全호? 어렵다 호니(내훈 2하:41)(4)에서 (a)는 ‘長子’로 미루어 봤을 때, 주어가 2인칭임에 틀림없다. (b) 역시 ‘主人’은 2인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