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주석의 해석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동일한 와카를 이용하여 주인공을 묘사하는 방법에 차이점을 보이기도 하였다. 즉, 아리와라노 나리히라(在原業平)를 현신한 부처이자 인간 ... 을 구원할 보살로 설명하고 있는 곡목이 있는 한편. 단지 나리히라의 등장을 알려주는 도구로만 사용한 작품도 있다. 또한 『이세모노가타리』의 구성을 그대로 따라하기도 하였다. 때로는 색 ... other words, there is a passage that describes Ariwara no Narihira (在原業平) as an incarnated Buddha and a
This study examined two poems from Kokinshu written by Tsurayuki and Narihira. In his book 『Korai ... Huteisho』 and Uta-awase, Shunzei assessed Tsurayuki’s 「Musubu Teno~(むすぶ手の~)」 and Narihira’s 「Tsukiya ... . Tsurayuki and Narihira have different styles, therefore they tried to describe different world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