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써 평양 일원에 지배권을 갖고 있었음을 밝히고자 한다.Ⅱ. 김유신가의 평양 지방 관리1. 평양군개국공신과 평양군공종래 ‘평양군개국공신’이라는 것에 구체적인 설명을 하지 못하 ... 으로 이동한 것을 주목하게 된다. 그러므로 김암의 패강진 진수 활동은 평양에서 일어난 사건임을 알 수 있다.4. 김융과 김유신가의 몰락김유신의 후손 김융의 모반을 전후하여 김유신가 ... 는 정치적으로 몰락하여 갔다. 이는 신라 정부에서 평양 일대를 패강진으로 장악하기 위하여 김유신가를 탄압하였다는 가설도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데, 실제로 당 측의 국서를 보
는 신라 지배층에 흡수되면서 사량부에 편입되어 있었다. 여기에 효소왕의 지지기반인 삼광이 김유신의 장자라는 점을 고려하면 사량부, 김유신가문, 효소왕이 서로 연결되었다고 본다 ... 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이처럼 신라중대 정치사에 대해서는 이미 발표된 연구업적이 적지 않게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표문에서는 김수태, 박해현의 연구를 중심으로 중대의 정치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