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 기주었고, 이러한 소유권은 누구에게도 침해받지 아니한다. 양안 起主欄의 기재방식에서「量田事目」에서는 田主와 時作人을 구분하고 있음이 두 번째 이유이다. 즉 時作은 원칙적으로 기주난 ... 하기 위한 것이 이 연구의 의의다.3. 量案上의 起主1)起主의 構成과 그 數起主의 構成量案의 연구에서 우선 문제는 起主의 身分關係와 그 數의 문제이다. 그것은 농촌사회의 계층구성 ... 과 그들의 소득관계를 추정하는 기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원칙적으로 양안상에는 기주의 신분관계가 명확하게 기입되어야 하지만, 이러한 기재방식이 예외없이 준수된 것은 아니다.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