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산시에 위치한 저수지를 대상으로 귀화식물의 현황 특징을 ... 지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9과 19속 22종 1변종으로 총 23분류 ... 목적이 있다. 경산시 일대의 저수지 식물현황 분석결과 62과 126속 148 ... 군, 아프리카가 2분류군, 아시아가 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율은 12.2 ... 우리나라 평균 귀화율 10.3%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다양도는 높아지나 귀화식물의 이입 역시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귀화식물 ... 연구는 양재천은 생태하천으 로 관리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귀화식물의 분포 ... 근거하였다. 각각의 조사 위치와 지점별 로 귀화율(귀화식물종수/전체식물종수 ... ×100)을 산정하였 고, 전체 귀화식물 종에 대한 이입시기 및 귀화도를 ... (귀화식물종수/전국귀화식물종수×100)를 산출하기 위해 국립환경과학원
지역에서 각 2곳을 선택하여 총 14개 조사 지역에서 외래식물과 귀화 ... 식물의 도시화지수를 분석하였다. 귀화식물은 26과 79속 105종 6변종 ... 높았으며 곡성군이 16.38%로 가장 낮았다. 귀화식물 과별 출현종류는 국화 ... %), 콩과 7종류(6.31%) 순이었다. 주요 귀화식물군락은 군락조성표에 ... 군락이 확인 되었다. 생태계 위해귀화식물은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애기
국외에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국내에 유 입된 외래식물들이 정착하여 귀화 ... 밭경작지 에 출현하는 귀화식물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들의 생활형 특 성 ... , 귀화도, 귀화시기 등을 분석하였다. 식물상은 전국을 대 상으로 2013 ... 중 귀화식물은 23과 64속 91종 8변종으로 총 99분류 ... 나타냈다. 밭경작 지 귀화식물 중 국화과가 30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 있는 섬이다. 동도의 광의의 귀화식물은 목본인 ... . 그리고 협의의 귀화식물은 방가지똥, 갓, 소리쟁이, 흰명아주, 그리고 개 ... 보리 등으로 5종류이다. 외부에서 이입된 귀화식물은 총 32종류에 해당하므로 ... 불안전한 상태이므로 자생종의 보전차원에서 귀화식물의 유입 차단이나 제거 ... 도나 본토와 한번도 맞닿은 적이 없었기 때문에 식물 진화를 논할 수 있는 식물지리
군이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애기수영, 미국자리공 등 총 12분류군 으로 귀화 ... 본 연구는 경상남도 함양군 대봉산의 산림휴양단지 조성예정지의 식물 ... 수행되었다. 전체적인 식물상은 80과 172속 212종 3아종 26 ... 변종 5품종으로 총 246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양치식물계수는 0.71로 ... 나타났고, 종/속 비율은 1.23으로 나타났다. 특산식물은 은꿩의 다리
총 309종류가 확인되었다. 그 중 귀화식물은 14과 36속 44종 2 ... 같은 환경지수가 높은 도시 하천이나 둔치가 귀화식물센터 중 중요한 하나로 ... . 조사 결과 전체 식물상은 76과 211속 273종 35변종 1품종으로 ... 평균 도시화지수는 17.2%, 귀화율은 14.9%로 확인되었다. 원산 ... 지는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각각 16종으로 가장 많았다. 도시화지수나 귀화율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라고 있는 귀화식물의 생활형, 원산지, 도입 ...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본 연구에서는 귀화식물이란 “우리나라 비토착 ... . 제주도에 자라는 귀화식물의 종류는 31과 111속 178종 10변종의 ... 다음으로는 유럽 의 원산지인 종이 많았다. 3. 제주도의 귀화식물 188 ... 도의 귀화식물 원산지별로는 유럽64(35%) 종류이고, 아메리카지역 85(45
울릉도 식물상의 참고문헌과 야외조사를 통해 확인된 귀화식물은 21과 ... . 귀화식물의 관리방안으로는 원예용 식물 유입의 최소화 및 확산 방지와 절개지 ... 22.0이며, 각각의 참고문헌에 의하면 귀화율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 확인되었다. 울릉도의 생태계 교란 야생식물로는 돼지풀이 생육하고 있었다
위기 식물과 귀화식물을 조사하였다. 난대상록활엽수림에 70% 이상 공통 ... 과의 삼나무 등 총 9과 13속 13종으로 가장 많은 도입 또는 귀화식물 ... ) 등의 순이었다. 관찰된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물푸레나무과의 이팝 ... 변종 등 13종류로 가장 많은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파악되었다. 귀화 및 ... 도입식물의 경우 국화과는 7종, 콩과는 5종, 자리공과는 2종을
귀화식물 들어가기에 앞서 귀화식물의 용어는 분명히 과학적 용어로써 일반 ... 적으로 사용하는 외국식물과 구별하여 인식해야 할 것이다. 귀화식물은 모든 ... 은 야생화 되지 않았으므로 외래식물이기는 하지만 귀화식물은 아니다. 따라서 ... 귀화식물 우리 나라에서 현재 통용하고있는 귀화식물의 속성은 외국식물 ... . 식물인 경우에는 이것을 귀화식물(歸化植物)이라고 한다. 따라서 귀화
주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귀화식물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분포특성을 ...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지역의 외래식물은 47 과 161 속 248 종 6 ... 비율을 차지하였고, 번식형은 연결체가 없는 단위식물형이 203 분류 ... 일년생식물이 150 분류군으로 전체의 59%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 , 다음으로는 반지중식물이 53 분류군(20.9%), 지중식물이 26분류군(10
귀화식물의 침입을 용이하도록 도와준다. 그 중 도시하천은 도시에 흐르는 ...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당 지역의 식물 분포 특성과 귀화율 ...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박수현, 2009), 한국 침입 ... 목록을 바탕으로 하였다. 각각의 조사 위치와 지점별로 귀화율(귀화식물종수 ... /전체식물종수×100)을 산정하였고, 전체 귀화식물 종에 대한 이입시기
귀화식물은 대부분 도로변, 하천, 사람들이 거주하는 공간의 주변, 경작 ... 입히기도 한다. 이러한 귀화식물의 특성으로 전주시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 부분 단일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전주시의 귀화식물은 25과 67종이 ... 을 파악하고 생태계와 인간의 경제활동에 피해를 주는 생태계교란식물의 분포와 ... 계교란생물(식물)의 분포는 도로변에는 미국쑥부쟁이, 가시상추가 주로
본 연구는 전라북도 전주지역을 대상으로 비오톱 유형별 귀화식물의 분포 ... 상과 귀화식물을 조사하여 입지별 귀화율을 산정하였다. 조사결과 총 113과 ... 525종의 식물이 조사되었고, 이 중 귀화식물은 총 19과 54종이 ... 침엽수 자연립 유형으로서 귀화식물이 한 종도 조사되지 않았다. 전주 ...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8년 5월부터 6월까지 비오톱 유형별로 식물
군, 강진군 지역을 중심으로 이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상과 군락을 ... 조사함으로서 귀화식물의 지리적, 서식지 특성별 분포실태에 따른 관리방안을 ... 제시하였다. 조사된 귀화식물은 총 29과 84속 122종 8변종으로 총 130 ...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총 30개 귀화식물군락으로 분류되었다. 8개 조사 ... 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귀화식물군락은 아까시나무군락, 족제비싸리나무군락
지역을 중심으로 이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 . 조사된 귀화식물은 총 25과 100종이 조사되었다. 고흥군 외나로도에서 ... 중에서 상대적으로 귀화식물이 적게 나타났다. 전 조사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 방가지똥, 방가지똥, 도꼬마리 등 26종이 나타났다. 귀화식물 분포특성을 생 ... 귀화식물 분포를 비교하였다.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은 국립공원내의 독특한
태안해안국립공원 15개소 일대의 관속식물은 117과 326속 436종 ... 않았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53종으로 I 등급에 해당하는 ... , IV 등급에 갯강활 1종, V 등급에 통발 1종이 확인되었다. 귀화 ... 식물은 도깨비가지, 미국자리공 및 달맞이꽃 등 17과 44속 51종 1 ... 품종으로 총 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생태계교란야생 동 식물로 알려진
귀화식물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분류군은 82과 201 ... 해당되는 귀화식물의 비율이 높았으며, 유입시기를 살펴보면 초기 정착종보다 ... 최근 유입된 귀화식물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지간의 유사도는 ... 나타나는 귀화식물의 종다양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관리에 ...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에 따라 문화유산 식재경관 조성 및 귀화식물 관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