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 국어와 민족문화360 탐구문제 -국어의 음운 특질⇒ ‘달, 딸, 탈’이나 ‘자다, 짜다, 차다’를 모두 구분해서 발음하지 못하고, 전자의 경우 ‘ㄷ, ㄸ, ㅌ’을 ‘d ... , t'로, 후자의 경우 ’ㅈ, ㅉ, ㅊ‘을 'j, ch' 등으로 밖에 구분하지 못한다. 그 이유는 국어 자음 중 파열음 계열은 예사소리(평음), 된소리(경음), 거센소리(격음 ... ][ㅌ][ㅍ]의 거센소리로 발음해도 영어화자들은 이 발음을 각기 다른 단어로 인식하지 않는다.362 탐구문제- 국어의 어휘 특질⇒ 빨갛다: deep-red, 밯갛다: bright
제6장 국어와 민족문화1. 국어의 특질* 지구상의 언어 분류1) 유형 분류 : 언어의 구조적 특징에 근거하는 기준2) 계통 분류 : 언어의 기원과 역사에 근거하는 기준1.1 ... 으로 통일될 수밖에 없었다. 경주가 신라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이 되므로 신라어가 널리 퍼지게 된 것이다. 고대국어는 서서히 중국어의 영향을 받으면서 변화하기 시작 ... . 국어의 유형론적 특질1.1.1. 음운 특질1) 삼지적 상관속 (三支的 相關束) : /ㄱ, ㅋ, ㄲ/ 예사소리 - 거센소리 - 된소리2) 음절 끝 위치에서 자음들이 모두 파열되지 않
과 서연을 맡아보면서 학문을 연구 하였음.[2]한글창제-세종 26년(1446) ‘훈민정음(訓民正音)’을 반포☞국문학의 폭이 확대, 국민 전반전인 문화수준의 향상3.조선 문화가 활짝 ... 피어나다.-세종부터 성종 말까지 예로부터 내려오는 전통문화에 고려와 아라비아 문화를 소화한 양 반 관료들의 유교적 문화 창조 활동이 활발함.[1]도서편찬-고려사 : 조선 초기 ... 發而理乘之) : 氣의 작용, 理가 탐.(2)율곡 이이 :이통기국론(理通氣局) : 이(본체, 보편적인 것)는 통하고, 기(특성, 특수한 것)는 국한된다는 이론.- 기국(氣局) :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