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루가 전면에 있다.3 관서형(關西型) : 一자형이 과반수이고 ㄴ자형, ㄷ자형도 있다.4 관북형(關北型) : 기본형은 田자형이다.{「민가형의 분류(장보웅, 1974년)」이영택씨 ... 지역과 일치하고 있다. 북선형 또는 관북형이란 용어 대 신에 산지형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분포 지 역이 대부분 산지이기 때문이다. 평면은 겹집의 밭전자형(田字型)이며, 직가·곡가 ... 式) 민가라 부르기도 한다. 겹집형 민가의 분포 지역은 한반도 동북 지방이다. 즉 관북지방, 평안남·북도의 압록강 연안의 산지, 강원도 동부의 태백산맥 양사면, 경상북도의 중부 지방
의 하위개념으로서의 방언Ⅴ. 방언의 크기Ⅵ. 방언의 분화1. 지역방언(地域方言)2. 사회방언(社會方言)Ⅶ. 방언의 음운1. 음운 체계2. 음운 변이Ⅷ. 지역별 방언의 특징1. 방언 ... (社會階層), 성별(性別), 세대차(世代差)등에 의해 방언이 갈리는 경우다.1. 지역방언(地域方言)두 가지 원인 중 전자, 즉 지역의 다름에 의해 형성된 방언을 지역방언(地域方言 ... 였다. 995년 9주를 10도로 나누거나 폐합을 하였다.1. 관북(關北) : 함경북도2. 관남(關南) : 함경남도3. 관서(關西) : 평안도, 황해도4. 영동(嶺東) : 경주